오늘의 저편 <57>
오늘의 저편 <57>
  • 이해선
  • 승인 2012.03.29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랬다. 신랑이 족두리를 벗겨주기는 했다. 그리곤 술상 앞에 앉아 술을 마셔대다간 혼자 원앙금침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옷고름을 풀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정자는 기어이 소리 없이 훌쩍였고 손등으로 눈물을 훔쳐야 했다. 외로움을 꿀꺽꿀꺽 삼키다가 새우잠이 잠깐 들었을까? 새벽녘에 눈을 떠보니 신랑은 보이지 않았고 금침 밖에 누워 잠든 그녀 위에 이불만 덮여져 있었던 것이다.

 ‘설마 목 아플까 봐 족두리만 벗겨주었을까?’

 시흥댁은 족두리에 손을 댔다는 것 자체가 합방을 의미한다고 그렇게 야무지게 딱 믿고 싶었다.

 ‘여자가 있는 거야.’

 정자는 생각할수록 숨이 턱턱 막혀오는 것만 같았다. 너무 어린 신랑은 혼례식에 지쳐 각시 족두리를 벗겨주지도 못하고 그냥 쓰러져 잠들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다. 젖이 덜 떨어진 어떤 신랑은 어머니의 품속을 파고들 듯 각시의 젖가슴만 더듬다 잠이 들어버리더라고 하는 이야기도 들었다.

 ‘어떤 여자일까?’

 잠을 같이 자는 여자 따로 시골집에서 부모 모시고 사는 여자 따로 이렇게 여자를  둘씩 거느리고 사는 남자들이 많다는 이야길 들었다.  

 ‘경성의 큰 미곡상 주인!’

 정자가 알고 있는 신랑 형식에 대한 정보였다.

 ‘돈만 있으면 귀신도 부린다.’는 속담이 다 있는데 신랑 정도의 재력을 갖춘 사람이 살림을 차린 여자가 없다면 그것이 더 이상할 터였다. 새록새록 판단력이 커가는 건지는 모르지만 정자는 형식에게 딴 여자가 있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었다. 

 ‘날 데리러 오기나 할까?’

 정자는 이대로 신랑한테 잊히고 말 것만 같아 가슴이 자글자글 졸아붙고 있었다. 도회지에 나가 후처를 두고 있는 남자들은 시골집에 잘 오지 않았다. 본처는 눈이 짓무르도록 조상님의 제삿날이나 명절만을 기다렸다.

 후처는 일 년에 한두 번 시골집에 가는 남자 뒤에 어김없이 따라붙었고 그날만을 기다린 본처와는 대판 싸움이 벌어졌다.

 동네사람들은 싸움을 말리는 체하며 후처의 머리칼을 다 뽑아놓았다.

 그러면 남자는 ‘나 죽네.’ 비명을 지르는 후처의 손을 이끌고 도망을 치듯 시골집을 빠져나갈 수밖에 없는 노릇이었다.

 멀쩡한 본처를 내버려두고 기생첩을 끼고 사는 남자들이 있다는 이야기까지 소문으로 주워듣고는 했지만 어디까지나 재미거리였고 남의 이야기였다. 정자는 이제 알 것만 같았다. 남편을 시앗에게 빼앗기고 가슴에 한을 차곡차곡 쌓으며 살아야 하는 여자들의 지독한 아픔을.

 ‘이제 그를 보기 위해 추석을 손꼽아 기다려야 하는 걸까? 꿈에도 그와 합방할 날만을 기다리며 밤마다 베개를 흠뻑 적셔야 하는 걸까?

정자는 답답한 가슴을 손으로 자꾸 쓸었다. 

 ‘평생을 신랑 그림자만 그리워하며 살 바에는 차라리…?.’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버리는 상상에 사로잡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