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님·왕자님만 사는 나라
공주님·왕자님만 사는 나라
  • 경남일보
  • 승인 2012.04.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만진 (경상대 EU연구소, 건축학과 교수)

독일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면 의아해하는 것 중의 하나가 시도 때도 없이 돌아가는 텔레비전이다. 별로 보는 사람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기차역이나 버스터미널 심지어 길거리 공공장소에까지 사시사철 켜 놓는다. 절약과 근검을 최고의 미덕으로 삼는 독일사람인지라 이러한 전력소비 풍경에 실소를 금치 못한다.

하지만 소비와 관련하여 이보다 더 놀란 일이 있어 독일 방송에서 특집으로 다룬 일이 있다. 우리나라 젊은 사람들의 씀씀이와 소비풍조이다. 명품 옷, 가방, 고급 화장품의 주 소비고객이 젊은 사람인 것이 이들에게 이해가 잘 가지 않은 일인 것이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젊은 사람들이 이러한 고가제품을 위한 마케팅 대상이 아니다. 돈을 벌지 않거나 적게 벌기 때문에 명품을 걸치고 다니지 못하는 것은 부끄럽거나 이상한 일이 아니다. 비싼 레스토랑 밥을 먹지 못하는 경우도 당연한 것이다. 더구나 철따라 유행따라 너도나도 앞다퉈 머리부터 발끝까지 스타일을 바꾸는 것은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특히 대학생들은 당연히 실용적이며 소탈하고도 단순한 옷들을 입고 다닌다. 대부분은 화장을 하지 않고 민낯을 하고 다닌다. 그리고 힘든 대학공부에 전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특집방송에서 한 한국의 젊은 여성이 우리 젊은이들의 소비성향을 유행과 시대에 잘 적응하는 창의적이고 스마트한 행동이라 인터뷰를 했다. 하지만 독일 아나운서는 모두가 같은 스타일을 따라가는 것은 개성 없는 삶일 수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사실 이는 일리가 있는 이야기다. 새로운 스타일이나 유행은 모두에게 맞을 수가 없다. 이런 일은 의상 혹은 화장품 모델에게나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유럽사람들은 그때그때의 유행보다는 자기에게 맞는 스타일을 바꾸지 않고 유지하며 산다.

방송의 초점은 미혼의 한 젊은 직장여성에게로 맞춰졌다. 가장 궁금했던 것은 수십만 원에서 심지어 수백만 원까지 하는 고가의 명품을 문제없이 소비하는 이들의 월급이 궁금해서였다. 월급보다는 주로 부모에 의지해 산다는 대답을 들은 독일기자는 상당히 놀라는 기색이었다. 사실 독일에서는 고등학교나 직업학교를 마치고 성인이 되면 거의 다 부모를 떠나 독립한다.

이 때문에 유럽의 부모가 냉혹해 보이고 우리보다 자녀사랑이 적어 보인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부모가 계속 돌봐 주는 우리 애들의 삶이 더 행복하고 나아 보인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 아이들은 그렇게 행복해 보이지 않는 것 같다.

많은 과외비와 학원비를 쏟아 부어 죽어라고 공부해도 명문대학은 소수만 가니 나머지 대부분은 불행하기 짝이 없다. 대학을 나와 운 좋게 취업을 한다고 해도 계속해서 부모신세를 지니 자긍심과 자부심이 싹트지 않는다. 또한 부모의 재력에 따라 씀씀이가 정해지니 부자 부모를 둔 친구로부터 더한 위화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사회에서는 명품 짝퉁이 판을 치고 있는 것이다. 더 문제는 과도한 소비풍조를 따르다 보니 부모도 본인도 빚을 지기가 일쑤다. 이는 욕구불만으로 이어지고 사회와 부모에 대한 고마움보다는 불만과 불신만 키워 갈 수밖에 없고 자신감의 상실로 이어진다. 이러다보니 우리나라 젊은이들의 자살률이 높은 것은 이상할 것이 전혀 없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젊음 하나만 해도 큰 재산이다. 명품 없이도 민낯만으로도 멋있고 미래와 희망이 있다. 자기 손으로 번 돈은 자긍심을 가져다 주지만 부모의 기대가 섞여 오는 돈은 결국 부담으로 남는다. 우리 젊은이들은 모두 공주나 왕자처럼 자라고 있다. 왕의 자녀가 아닌 이들이 이렇게 살려고 하니 피곤하기 짝이 없으며 때론 방탕으로까지 이어진다. 이제 우리 젊은이들도 꿈에서 깨어나 자유와 진정한 행복을 찾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모두가 명문 대학가고, 명품을 착용하고, 으리으리한 집에 살아야만 행복한 것이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