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야, 숨 쉬어
지구야, 숨 쉬어
  • 경남일보
  • 승인 2012.04.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소진 (경상대신문사 편집국장)
지난 3월 31일 오후 8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지구촌 곳곳이 어두컴컴해졌다. 매년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시작되는 ‘Earth hour’ 때문이다. 매년 이 시각이 되면 서울 남산타워, 로마 콜로세움, 시드니 하버 브릿지,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등 각 도시의 주요 상징물과 ‘Earth hour’에 동참하는 공공기관, 기업, 가정집이 어둠 속에 잠긴다. 이 ‘어둠’은 깊어지고 넓어질수록 지구를 살리는 ‘착한’ 어둠이다.

‘Earth hour’란 전력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고 시작된 전 세계 지구촌 불끄기 행사로 ‘지구를 위한 한 시간’ 또는 ‘지구를 숨쉬게 하는 시간’이라고 하기도 한다. 세계자연보호기금(WWF)이 주최하는데, 2007년 호주 시드니 220만 가정과 기업에게서 출발해 4년째인 지난해에는 전 세계 135개 나라에서 5000여 개의 도시가 참여했다. 지난해 서울에서도 50만 개의 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참여해 약1만 5000 MWh(MegaWatt-hour)의 전기와 약 7400 tCO₂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세계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UN 제1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선진국의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규정한 ‘교토의정서’를 연장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모든 국가가 참여할 것을 원칙으로 하는 새 의정서를 2015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교토의정서에는 38개 나라가 가입돼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중국과 미국, 인도가 빠져 있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올해 말 완료되는 교토의정서의 연장기간을 5년으로 할지, 8년으로 할지는 카타르에서 열리는 UN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온실가스라면, 온실가스의 주범은 누구인가. 대표적인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가 있고, ‘인간’은 하루에도 몇 t씩 이들을 내뿜는다.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 매연, 쓰레기 매립, 심지어 인간의 배를 채우기 위해 사육되는 가축의 방귀나 트림에서까지…. 이처럼 온실가스 배출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전기생산, 물 공급, 식재료 운반과정에서도 온실가스가 배출된다고 한다. 무심코 꽂아 놓는 컴퓨터 플러그, 마구 흘려버리는 물, 끼니마다 식탁에 오르는 음식에서도 온실가스가 끊임없이 배출되고 있는 것이다. 자연 발생되는 온실가스 이외의 온실가스 발생원인은 모두 인간에게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인간의 편한 생활은 지구를 불편하게 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 북극곰의 터전이 사라지고, 남극엔 눈이 아닌 비가 내려 수많은 펭귄이 얼어 죽고 있다. 동물들에게만 찾아올 것 같았던 위기는 태풍,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이상기후 등으로 인간에게도 그 모습을 드러냈다. 늦었지만 이제는 우리가 정신을 차려야 할 때다.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었다. 몰라서 지나쳤던 ‘Earth hour’, 이날 지구에게 선물해 보는 것은 어떨까. 지구가 숨을 쉬어야 우리도 숨을 쉴 수 있다는 걸 잊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