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의 역학이야기] 팔자펴기
[이준의 역학이야기] 팔자펴기
  • 경남일보
  • 승인 2012.09.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흉취길(避凶取吉)

“아이고 내 팔자야, 팔자 좀 고칠 수 없나” 가장 흔히 듣는 말이다. 운명은 결정되어 있기에 바꿀 수 없는가, 아니면 바꿀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인도철학논쟁꺼리 중 하나이다. 이 중 인중유과(因中有果)는 사주팔자를 바꿀 수 없다는 관점이다. 어떤 원인(因)안에 이미 결과가 들어 있기에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좋은 말과 행동은 반드시 좋은 결과를 가져오고, 나쁜 말과 행동은 반드시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는 인과론이다. 반면 인중무과(因中無果)는 꼭 결과가 원인을 따르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사람의 자유의지나 노력으로 얼마든지 팔자를 바꿀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절충안으로 자연의 수학적 원리(운 80%, 노력 20%), 운칠기삼(運七技三, 운 70% 노력 30%) 등 다양한 말들도 생겨난다. 결론적으로 팔자는 고칠 수 없다. 다만 팔자를 잘 이용하고 조절할 수는 있다. 먹는 것, 운동하는 것, 대인관계로써 팔자를 조절할 수는 있다. 숙명(宿命)은 내가 태어나 죽는 것이기에 나로서는 어쩔 수 없다, 천명(天命)도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서 그 역시 나로서는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운명(運命)은 나의 의지가 어느 정도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의 팔자를 잘 알아야 한다.

팔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먼저, 순리와 역리의 방법이 있다. 순리(順理)는 팔자에 따르는 것이며 역리(逆理)는 팔자를 펴는 것이다. 순리의 방법은 스스로의 본질이 말인지 고래인지를 알아서 자기가 잘 적응할 수 있는 환경, 상황, 일, 사람과 더불어 도모하여야 하는 방법이다. 흔히 말하는 자기의 적성과 끼를 찾아서 이것을 융성케 한다는 논리이다. 고래는 물에서, 말은 뭍에서 활개 쳐야 한다는 관점이다. 고래가 뭍에서 잘 달리는 말을 보고 말을 흉내 내어 뭍으로 점프하여 기어오르다가는 당연히 말라죽기 마련이고, 말이 바다에서 헤엄치는 고래를 보고 물로 뛰어 들다가는 얼마 못가서 물에 빠져 죽는다.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다가는 가랑이가 찢어진다. 반면 역리는 거스르는 방법이다. 여름이면 차가운 음식이나 선풍기 에어컨이 잘 팔린다. 겨울이면 당연히 따스한 기운을 내는 물건들이 잘 팔린다. 무거운 쇳덩이는 뭉치채로 던지면 물에 가라앉지만, 펼쳐서 공기를 담으면 물위에 붕붕 떠는 배가 된다. 이와 마차가지로 역리는 스스로를 참고 달래어 자기기질과 정반대의 좋은 방향으로 펼치는 방법이다. 예컨대 울컥 화가 치밀 때 빙긋 웃어 보인다든지, 그저 가만히 앉아서 있고 싶을 때 일어서서 움직여 본다든지, 정말로 하기 싫은 일을 참으며 해본다든지, 물이 많기에 불을, 불이 많기에 물을, 나무가 많기에 쇠를, 쇠가 많기에 나무를 하는 식으로 상극의 이치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사주원국에 편관 칠살이나 상관기운이 많고 강한 사람, 갑일간을 경금이, 정일간을 계수가 충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권하고 싶은 방법이다. 하지만 이 경우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따를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할 일이다.

둘째, 좋은 일을 하는 것이다. 즉 적선(積善)이다. 적선은 베푸는 것이 아니라 나누는 것이다. 베푸는 것은 넉넉한 사람이 없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라면, 나누는 것은 나도 어렵지만 어려운 지경에서도 내 것을 나누어 필요한 이들에게 주는 것이다. 석가모니의 무재칠시(無財七施)는 단순히 상징적인 말씀이 아니라 실제로 팔자를 고치는 효험력(效驗力)이다. 하여 나누는 것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따지고 보면 나를 위한 것이다.

셋째, 바짝 엎드려 있는 것이다. 죽은 듯이 자기를 드러내지 않고 숨만 꼴딱이는 것이다. 운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엎드려 있는 것이 최상이다. 나쁜 운 때는 저승사자가 심심하여 긴 작대기로 휘휘 휘두르는 때에 비유할 수 있다. 이 작대기에 걸려들지 않도록 바짝 엎드려 있어야 한다. 평생토록 엎드려 있어야 하는 사람도 있다. 종교가들이다. 엎드려서 할 수 있는 길(吉)한 방법은 기도하고, 공부하고, 독서하고, 좋은 선생님을 찾아서 도란도란 이야기 하는 것이다.

넷째, 하늘관청(교회, 절, 성당)에서 봉사하거나 숨어 지낸다. 저승사자는 하늘관청에서는 맥을 못 춘다. 하늘관청에서는 절대로 흐린(濁) 마음과 행동을 하여서는 안 된다.

다섯째, 자기 명의를 드러내지 않거나, 자기명의의 집을 사지 않거나, 주소지를 둘로 하거나, 자기의 초상영정을 여러 개 만들어 벽에 걸어 놓거나, 운이 돌아 올 때까지 부부가 얼마 동안 떨어져 생활하거나, 계곡과 산으로 숨거나 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우울증 정신병 마음병 토기(土氣)가 충을 맞아 흘러내리는 사람은 바닷가나 호숫가가 좋지 않다.

여섯째, 운세 좋은 사람. 또는 운세 좋은 때의 사람과 같이 다니기 등의 방식이 있다.

어떻든 흉한 것은 피하고((避凶) 좋은 것은 가지고 싶은 것(取吉)이 사람들의 보통 마음이려니 싶어, 팔자는 고칠 수 없지만 알아서 대처 할 수는 있으니, 이렇게 몇 가지 방책들을 제시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