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의 경제적 가치 얼마쯤 될까?
태풍의 경제적 가치 얼마쯤 될까?
  • 경남일보
  • 승인 2013.10.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동식 (경남도의원)
지난 8일과 9일 이틀에 걸쳐 한반도 남동부를 관통하며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제24호 태풍 ‘다나스’. 매번 많은 피해로 아픈 생채기를 남기고 가는 태풍은 그 규모만 다를 뿐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영호남지역 곳곳에서 쓰러진 간판이 도로 위에 나뒹굴고 가로수가 뿌리째 뽑혔다. 초속 30m 이상의 강풍이 불고 시간당 3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경남에서는 7200여 가구가, 전남과 제주에서는 5100여 가구가 전기가 끊겨 주민들이 한동안 불편을 겪기도 했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산업별로 광업(-3.1%p), 농림어업(-0.6%p), 건설업(-0.3%p), 운수·보관업(-0.3%p) 등에서 생산활동 위축현상이 발견됐다.

이렇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불청객 태풍.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주는 혜택도 많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지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 동안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태풍 17개를 조사한 결과 경제적 효과가 무려 8000억원에 달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태풍의 순기능적인 측면, 이를테면 수자원 확보, 대기질 개선, 해양의 적조발생 억제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다. 태풍의 특성상 수자원 확보측면에서 7000억원 이상, 대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는 900억원 이상이라고 한다.

올해는 유독 피해가 극심했는데 말 그대로 남해안과 동해안은 ‘죽음의 바다’와 다를 바 없었다. 경남에서는 적조 탓에 241어가 250만 마리의 양식어류가 폐사해 200억원이 넘는 피해액이 발생했다. 전국을 종합하면 피해액은 240억원 이상으로 집계됐는데 역대 두 번째 큰 규모라고 한다. 오죽했으면 박근혜 대통령도 적조피해를 입은 통영 가두리 양식장을 방문해 ‘태풍이라도 와서 적조를 쓸고 갔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했을까. 전문가들은 이 태풍이 양식업에 큰 피해를 주는 적조현상을 억제해 31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태풍을 재조명하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기상청을 비롯한 당국과 국내 학계는 지난 2009년 8월 처음으로 제주에서 태풍에 대한 재해와 혜택의 양면성을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토론하고 이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들은 1950년대 이후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의 진로와 강도, 빈도 특성을 분석해보니 태풍의 주 상륙지역이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남해안으로 바뀌고 있고 강도가 강해지고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반면 최근 6년간 태풍으로 입은 피해액의 8%에 달하는 사회·경제적 가치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조원철 교수는 ‘한반도 영향 태풍의 경제적 가치’라는 주제발표를 통해서 “태풍의 역기능과 순기능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의 정량화로 방재안전관리 대책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다”고 밝혔고, 경기대 건설공학과 이종태 교수는 “태풍 등에 의한 도시형 홍수재해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도시 수문환경이 변화함으로써 홍수 도달시간의 단축과 홍수량, 홍수위의 증가로 주로 발생한다”며 “지하공간에 대한 침수방지 대책을 세우고 기준제정 이전에 설치된 시설에 대해 수방기준을 갖추도록 계도·홍보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태풍으로 떨어진 과일에 대한 경제성 향상 연구도 수반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말린 낙과에서 고식이섬유만을 추출해 밀가루나 쌀가루처럼 과자와 쿠기, 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특히 라면 등에 고식이섬유 분말이 활용될 경우 종전의 밀가루로만 만들어진 면류에 비해 흡수되는 기름이 40%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게 되면 기존 밀가루보다 혈당수치도 17% 정도 감소시켜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요컨대 태풍은 두 얼굴을 가졌다. 역기능이 있는가 하면 사회·경제적 가치가 증명되는 순기능도 있다. 덧붙여 무방비로 태풍을 맞는 대신 대부분의 경제적 피해가 건물과 인프라 시설피해에서 발생하는 만큼 도시방재 대응 대책마련도 시급해 보이며 사회적·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해 재산의 손실을 줄여나가고 이와 연계한 ‘국토·도시 다중재해 방어체계’ 등 사전 경보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지적하고 있다.
박동식 (경남도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