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진주성 대첩, 다시 보는 그날(6)
[특별기획]진주성 대첩, 다시 보는 그날(6)
  • 임명진
  • 승인 2018.10.19 1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투4일차-방어전, 성벽을 사수하라
1)1차 진주성 전투, 그날을 만나다 ☜                 
2)유숭인 부대의 결사항전  ☜                       
3)전투1일차-탐색전, 적을 속여라 ☜                  
4)전투2일차-공성전, 왜군에 포위당한 진주성 ☜       
5)전투3일차-심리전, 포로로 잡힌 진주 아이들 ☜      
6)전투4일차-방어전, 성벽을 사수하라 ☜              
7)전투5일차-총공세, 최후의 일전을 앞두고 ☜         
8)전투 6일차-승전보와 김시민의 비보 ☜             
9)그날을 기억하며-전문가 인터뷰 ☜                 
 
▲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의 장면을 담은 기록화. 촉석루와 멀리 망진산이 보인다. 자료제공=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om 

8일 아침이 밝았다. 일본군은 성벽보다 더 높은 ‘산대’라고 불리는 공성무기를 앞세워 성을 압박해 공격했다.

공성무기 위에는 적 조총수들이 진주성을 내려다보며 연신 총을 쏘아대고 있었다.

전날 밤에 일본군이 만들어 놓은 대나무 토성과 공성무기들이 아침이 되자 그 위용을 드러냈다.

진주성 주변에는 대나무 밭이 많았다.

일본군은 이 대나무를 베어 성을 넘기 위한 사다리를 만들었는데 그 수가 족히 수천 개나 됐다.



학봉집의 기록에는 ‘일본군이 넓은 사다리를 만든 다음, 그 사이를 대나무로 매우 조밀하게 엮었는데 너비는 한 칸이나 되었다. 사다리 위에다가 멍석을 깔아 마치 비늘처럼 잇달아 연결해 성벽에 걸쳐 여러 군사들이 한꺼번에 올라갈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고 적혀 있다.
 
▲ 진주성 서문 근처에 있는 대나무 숲. 1592년 임진왜란 당시와 마찬가지로 진주성 주변에는여전히 대나무숲들이 지천에 널려 있다.


성안에서 이를 바라보던 조선군과 백성들은 술렁거렸다.

밤사이 일본군이 분주히 움직인 까닭을 알아챈 것이다.

성벽까지 다가온 일본군이 하나둘 사다리를 성에 걸치고 성벽을 기어오르기 시작했다.

조선군도 대포와 활을 쏘며 방어에 나섰다.

“막아라. 성벽을 넘어서지 못하게 하라”

김시민을 비롯한 휘하 장수들은 군사들을 독려해 가며 적의 공세를 막아내기에 여념이 없었다.

성 곳곳에 설치된 대포가 연신 불을 뿜었고 수없이 많은 화살들이 적진을 향해 날아갔다.

김시민의 눈에 3층 높이의 공성무기인 산대가 들어왔다.

산대 위에 올라 있던 일본군이 판자를 방패삼아 조총을 쏘아대고 있었다.

김시민은 군사에 일러 산대에 대포를 쏘게 했다.

숙련된 조선군은 현자총통을 쏘아 세 번이나 산대에 명중을 시켰다.

그때마다 산대위에 올라 있던 일본군이 우수수 떨어져 죽었다.

성벽을 타고 오르는 일본군에게는 펄펄 끓는 물을 퍼부었다.

자루가 긴 도끼와 낫 등으로 사다리를 밀어내고 돌을 굴려서 일본군에게 타격을 입혔다.

얼마의 시간이 지났을까. 견디다 못한 일본군이 물러가기 시작했다.

그것을 바라본 조선군과 백성들이 다시 승리의 힘찬 환호성을 내질렀다.


벌써 며칠째 진주성은 일본군의 대규모 파상공세를 거뜬히 막아내고 있었다.

적은 이제껏 큰 전투를 치루지 않아 그 전력을 온전히 보전하고 있었다.

그들의 수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특명을 내린 터라 전공을 얻기 위한 적장들의 투지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런 적들을 맞아 진주성의 군사들은 엄청난 병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성을 굳건히 지켜내고 있었다.

소모전이라면 병력 수가 적은 조선군이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이미 조선군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다.

다시 그들의 본진으로 물러난 일본군은 진 앞에 소나무 가지를 쌓아 놓기 시작했다.

성 안의 김시민을 비롯한 조선군은 단번에 일본군의 계략을 눈치챘다.

적의 접근을 막아주는 자연장벽인 진주성 주변의 해자와 늪을 소나무 가지로 메우기 위한 술수였던 것이다.

해자와 늪이 메워지고 일본군이 손쉽게 성벽으로 접근해 단병 근접전이 벌어지면 조선군이 불리해진다.

 
▲ 서장대, 진주성의 서문에 속하는 장군의 지휘소


김시민은 대안으로 화구를 준비하라고 명을 내렸다.

생나무 상태인 소나무가 습기때문에 태우기 어려울 것을 염려한 장군은 풀섶을 묶은 속에 화약을 감추어서 성 밖으로 집어던지게 했다. 솔가지와 대나무를 불태우기로 한 것이다.

짚으로 활을 잔뜩 잡아당기는 모습을 한 인형도 많이 만들어 성곽 곳곳에 배치했다.

일본군의 조총 사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화약과 화살을 낭비하게 하는 계책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선군의 피해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일본군의 피해가 훨씬 컸지만 워낙 병력 수에서 차이가 컸다.

화살을 아끼기 위해 돌을 던져 가며 싸웠고, 물을 끓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일본군에게 퍼부었다.

군사가 모자라 남녀노소 백성들까지 물을 끓이고 돌을 날랐다.

성벽을 넘은 일본군과 성곽에서 치열한 단병접전도 벌어졌다.

김시민과 휘하 장수들도 칼을 빼들고 무수히 많은 적을 베어 넘어뜨렸다.

밤 이경(오후9시~11시)이 되자 고성군수 조응도와 복병장 정유경 등이 군사 500여 명을 이끌고 남강밖 진현(지금의 망진산)에 올라 뿔피리를 불고 함성을 질렀다.

진주성의 조선군이 큰 함성으로 호응하자 당황한 일본군은 급히 군사를 보내 남강변을 막고 구원병이 오는 길을 차단했다.

글=임명진·그래픽=박현영기자

 
▲ 진주성 서장대에 바라본 평거·신안동 방향의 도심 전경. 남강과 멀리 망진산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