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무역 54년 내내 적자…누적 708조원
대일무역 54년 내내 적자…누적 708조원
  • 연합뉴스
  • 승인 2019.07.07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기술 의존 산업구조 영향
“국산화·다각화로 풀어야”
한일 국교 정상화가 이뤄진 지 50년이 넘도록 한국은 단 한 차례도 대(對)일본 무역수지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적자액이 700조원을 훌쩍 넘겼다.

그간 한국이 일본의 부품·소재 기술력에 기댄 채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등을 키워와 일본에 대한높은 의존도가 여전한 상황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려면 국산화와 수입선 다변화가 필요하지만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6일 한국무역협회(KITA)와 관세청의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1965년부터 2018년까지 54년간 한국의 대일 무역적자 누적액은 총 6046억달러(약 708조원)로 집계됐다.

한일 양국은 1965년 청구권 협정을 체결하고 국교를 정상화하면서 처음으로 교역을 시작했다. 당시 대일본 무역적자액은 1억3000만달러였다.

이후 한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적자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1974년에는 12억4000만달러, 1994년에는 118억7000만달러로 뛰었다.

1998∼1999년 외환위기로 주춤하던 적자액은 2000년대 들어 다시 100억달러대를 회복했고 2010년에는 361억2000만달러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후로 다소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200억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대일본 무역적자액은 세계 각국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크다.

지난해 대상 국가별 무역수지 적자액을 비교한 결과 일본이 240억8000만달러로 가장 컸고, 사우디아라비아(223억8천만달러), 카타르(157억7000만달러), 쿠웨이트(115억4000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국이 의존할 수밖에 없는 원유 수출국이다.

산유국도 아닌 국가인 일본과 교역에서 이처럼 유독 적자가 발생하는 데는 기술력 문제가 있다.

한국은 그간 소재·부품 기술력을 일본에 의존한 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몸집을 키워왔다.

지난해 품목별 무역수지를 따져 보면 원자로·보일러·기계류 수입으로 85억7000만달러의 적자가 발생했고 전기기기·녹음기·재생기에서 43억3000만달러, 광학기기·정밀기기 등에서는 35억7000만달러의 적자가 났다.

특히 반도체 디바이스, 전자집적회로 제조 기계, 전자기기 프로세서·컨트롤러 등이 무역적자의 주요인으로 꼽혔다.

대부분 장시간 축적한 기술력이 있어야 하는 부품·소재 제품으로, 공급 점유율도 압도적이다.

일본이 수출규제 품목으로 선정한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포토리지스트(감광액)는 전 세계 공급량의 90%가 일본산이다.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는 70%가 일본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반면 우리가 흑자를 내는 품목은 광물성 연료(31억9000만달러), 천연진주·귀금속(5억6000만달러), 어류·갑각류(3억7000만달러) 등 얼마든지 대체 가능한 분야다.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진경제실장은 “그간 한국이 미국과 일본의 자본과 기술에 의존해 경제성장을 해왔는데 지금까지도 여전히 일본의 기술에 의존하던 산업구조의 취약점이 드러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1970∼1980년대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고 2010년대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는 성과를 일부 냈지만, 소재 분야에서는 여전히 기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만성적인 대일 무역적자에서 벗어날 방안은 결국 기술력 강화를 통한 부품·소재 국산화와 수입선 다각화로 귀결된다.

이미 당·정·청은 반도체 소재부품 산업에 매년 1조원씩 집중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수출규제 품목 3가지를 비롯해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부품·소재·장비를 국산화하기 위한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다각화는 일본 업계에서도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선례도 있다. 2010년 중국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분쟁으로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규제했다.

당시 일본의 희토류 대중 의존도는 90%에 달했지만, 일본은 호주·베트남·카자흐스탄·인도 등지에서 희토류 개발권을 확보해 의존도를 50% 아래로 낮춘 바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이 대체 공급처를 찾게 되면 일본 부품 소재업계에는 타격이 될 수 있다.

다만 일본을 대체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려면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 교수는 “자금을 투입해서 해결될 문제였다면 이전에 됐을 것”이라며 “인력이나 기술습득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과제”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표] 한국의 대 일본 무역수지 현황(단위 = 1000달러)

 
연도  무역수지
2018년  -24,075,169
2017년  -28,308,584
2016년  -23,111,556
2015년  -20,277,327
2014년  -21,584,525
2013년  -25,367,065
2012년  -25,567,023
2011년  -28,640,464
2010년  -36,119,836
2009년  -27,656,676
2008년  -32,703,920
2007년  -29,879,935
2006년  -25,392,277
2005년  -24,375,745
2004년  -24,443,126
2003년  -19,036,954
2002년  -14,713,045
2001년  -10,127,606
2000년  -11,361,927
1999년  -8,279,542
1998년  -4,602,822
1997년  -13,135,953
1996년  -15,681,809
1995년  -15,557,497
1994년  -11,867,128
1993년  -8,451,101
1992년  -7,858,196
1991년  -8,764,377
1990년  -5,935,972
1989년  -3,991,830
1988년  -3,924,697
1987년  -5,219,869
1986년  -5,443,560
1985년  -3,016,955
1984년  -3,037,876
1983년  -2,880,877
1982년  -1,990,751
1981년  -2,929,738
1980년  -2,818,402
1979년  -3,303,671
1978년  -3,354,221
1977년  -1,778,289
1976년  -1,297,410
1975년  -1,140,699
1974년  -1,240,355
1973년  -485,362
1972년  -623,209
1971년  -691,789
1970년  -574,953
1969년  -640,452
1968년  -623,199
1967년  -358,309
1966년  -228,874
1965년  -130,334
※ 출처 = 한국무역협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