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 새겨진 가야 왕묘, 천문사상 자료 확보
별자리 새겨진 가야 왕묘, 천문사상 자료 확보
  • 여선동
  • 승인 2019.12.19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말이산 13호분 조사성과·현장공개
왕묘의 독창적 무덤 축조기술 확인
함안군과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원장 배덕환)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로 사적 제515호 함안말이산고분군 중 최대급 고분인 말이산 13호분과 주변지역에 대한 정밀발굴조사(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사업의 일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0일 조사성과와 함께 현장을 공개한다.

함안 말이산 13호분은 일제강점기 1918년 일본인 학자 야쓰이 세이이쓰에 의해 조사되었으나 몇 장의 도면과 사진만 남겨진 채 고분의 역사적 가치를 전혀 알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지난 2017년 봉분 중앙에 발생한 싱크홀 현상의 원인규명과 보존조치를 위해 문화재청 문화재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100년째 되는 2018년 발굴조사가 시작됐다.

2018년 12월 18일 중간 조사성과 공개에서 덮개석에 새겨진 남두육성·청룡별자리 등 가야 최초의 별자리와 무덤방 내 4벽면을 붉게 채색한 채색고분, 고암반대 축조기법 등이 확인되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된 올해에는 고분의 축조방법과 구조를 파악하는데 집중하여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13호분 대형 돌덧널무덤의 축조와 관련된 ‘특수통로시설’과 봉토를 효율적으로 쌓기 위한 ‘중심분할석벽’ 축조공법 등 아라가야 왕묘의 독창적인 토목기술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북쪽의 특수통로시설은 벽석재와 부장용품 운반 및 제의공간으로도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로, 위에서 아래로 매장이 이루어지는 돌덧널무덤에서는 처음으로 조사된 독특한 구조이다.

중심분할석벽은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봉토고분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조이다. 대규모 암반대 조성공정에서 생성된 암반석재를 봉분축조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치 석성의 성벽과 유사하며 잔존 높이만 무려 3m에 달한다. 석벽은 정확히 돌덧널의 중심축 상부에 축조되어 있어 13호분이 치밀한 설계를 통해 축조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지난 2018년 조사된 함안 안곡산성 등의 성벽 축조기술과도 유사하여 당시 국가주도 토목기술의 상호관련성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돌덧널은 암반대 상부를 정지한 후에 묘광을 굴착하고 축조하였는데 모두 14매의 덮개돌을 덮었다. 특히 화강암제 등 강도가 높은 석재를 5매 정도 덮어 봉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기획했으며 덮개돌과 벽석 최상단석 사이에는 점토를 깔고 너비 10cm 정도의 얇은 각재를 놓아 최상단 벽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개석의 수평을 조절한 흔적이 확인됐다.

그리고 돌덧널은 길이 8.7m, 너비 2.1m 규모로, 내부는 모두 적색안료(산화철이 포함된 석간주)를 사용하여 붉게 채색한 채색고분이다. 양장벽과 남단벽에는 말이산고분군의 특징적 시설인 들보시설이 완전한 상태로 잔존하며, 들보시설 바닥면에는 나무재질의 흔적도 관찰된다.

이러한 돌덧널의 세부적인 축조기술은 앞으로 고대 기술사적 비교에서 좋은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출토유물은 1918년 약식조사 이전부터 80년대까지 상당히 많은 도굴피해로 인해 원상이 많이 훼손된 상태였지만, 북벽 아래 부장공간과 인접한 주피장자공간에서 꽤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조형미가 뛰어난 두 귀 달린 장군을 비롯한 그릇받침(통형기대ㆍ발형기대), 굽다리접시(고배) 등의 토기류와 청동제 말갖춤장식편 및 갑옷편, 금동제 투조 허리띠장식구와 비취곡옥 등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토기로 볼 때 13호분은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13호분 주변지역에서 봉분은 유실되었지만 86호분과 129호분 2기의 돌덧널무덤이 조사됐다. 86호분은 돌덧널의 길이가 6.5m로 들보시설을 갖춘 중형급의 무덤이다. 내부에서 그릇받침(발형기대), 불꽃무늬굽다리접시(화염형투창고배) 등의 토기와 화살촉, 창(철모) 등 무기류 및 말갖춤새(등자, 재갈)가 출토됐다.

129호분은 86호분보다 규모가 작지만 주구(周溝)가 시설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뿔잔(각배), 굽다리항아리(대부호) 등 토기가 출토되었다. 86호분과 129호분은 13호분과 동시기인 5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며 구체적으로는 약간 늦게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13호분과의 배치관계로 보아 배장묘와 같은 성격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번 말이산 13호분에 대한 100년만의 재발굴조사를 통해 자칫 잊혀질 수 있었던 고대 아라가야의 왕묘의 모습과 가야의 발전된 천문사상을 실증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를 확보하는 성과를 얻었다. 이러한 자료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뛰어난 역사적 가치를 지닌 아라가야의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반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여선동기자 sundong@gnnews.co.kr

 
함안 말이산13호 고분군 및 주변지역 원경 장면
함안 말이산 13호분 유물 출토 장면
출토유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