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 논란' 백자병 국보 탈락하나
'국적 논란' 백자병 국보 탈락하나
  • 연합뉴스
  • 승인 2020.01.05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작품 추정 '동화매국문 병' 지정 해제 검토

지난 1974년 국보 제168호가 된 ‘백자 동화매국문(銅畵梅菊文) 병’이 제작지를 둘러싼 논란으로 지정 해제될 위기에 놓였다.

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는 최근 회의에서 가치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된 백자 동화매국문 병의 국보 지정 해제 안건을 논의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백자 동화매국문 병은 일본인 골동품상 아마쓰 모타로에게 300엔을 주고 구매했다는 문화재다. 높이는 21.4㎝, 입 지름은 4.9㎝이다. 이 유물은 붉은색 안료인 진사(辰砂)를 사용한 조선 초기의 드문 작품으로 화려한 문양과 안정된 형태가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아 국보로 지정됐으나, 지금은 중국 원나라 14세기 작품이라는 평가가 우세한 상황이다. 이처럼 엇갈리는 평가는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설명에서도 확인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은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백자 병”이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도자기에 이미 진사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조선시대 전기에는 도자기에 붉은색을 냈다는 사실만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며 후기에 본격적으로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앙박물관은 “경덕진요(景德鎭窯) 초기 형태의 유리홍(유약 밑에 붉은 그림)으로 시기는 원대”라며 “가운데 몸통에 매화와 국화 무늬를 그렸으며, 간간이 파초와 매화가 유리홍으로 표현됐다”고 했다.

지정 해제 검토를 앞두고 문화재청이 전문가들로부터 받은 의견을 보면 원나라 도자기이므로 해제가 타당하다는 쪽에 무게중심이 실렸다.

지정 조사자 A씨는 “이 백자에 대한 가장 큰 논란은 언제 어디에서 제작했는가 하는 시기와 국적 문제”라며 “조선 전기에는 백자에 동화(구리가 주성분인 안료로 문양을 장식하는 기법)로 장식한 사례가 없다고 알려졌다”고 밝혔다. 그는 백자 동화매국문 병과 유사한 자료로는 1323년 중국에서 일본으로 향하다 침몰한 신안선 출토 ‘백자 유리홍 시문 접시’가 있다면서 중국 경덕진요에서 14세기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문화재위원회는 일단 이 같은 주장을 받아들여 보류 결정을 한 뒤 “과학조사, 중국 도자기 관련 보완조사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일단 체계적 연구를 하고, 결과가 나오면 해제 여부를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셈이다. 이전에도 국보에서 지정 해제된 사례가 있다. 거북선에 장착된 화기로 알려졌으나 1996년 가짜로 판명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귀함별황자총통’은 국보 제274호에서 해제됐다. 국보 제278호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은 2010년 한 단계 아래인 보물로 강등됐다.

연합뉴스

 

백자 동화매국문 병 국보 제168호 ‘백자 동화매국문(銅畵梅菊文) 병’. 문화재위원회는 ‘국적 논란’에 휘말린 이 문화재의 국보 지정 해제를 검토해 보류했다. 1974년 지정 당시에는 조선시대 도자기라고 봤으나, 지금은 원나라 유물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