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정원 히말라야 (19) ‘운명의 산’ 낭가파르바트(하)
신들의 정원 히말라야 (19) ‘운명의 산’ 낭가파르바트(하)
  • 경남일보
  • 승인 2020.05.03 1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기 하지않은 우정…악몽의 귀환마저도 ‘완벽’

매스너의 깡통 발견…등정기념품으로 목걸이 남겨
정상 정복조, 탈진 속 어둠 내린 8천 고지 더딘 하산
도전 앞둔 2차 공격조, 안전한 귀환 위해 발길 돌려
 
1992년 낭가파르바트 정상에 선 박희택 대원
낭가파르바트 베이스캠프 하늘에는 별이 총총히 빛나고 있었다. 좋은 날씨가 예상되면서 등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오전 5시 20분 공격조가 텐트를 떠났다. 베이스캠프에서도 등반을 확인했다. 경남과 광주 우암팀은 5명의 대원이 쉬지 않고 나아갔지만 1명의 대원은 컨디션이 좋지 않아 속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1명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베이스캠프에 있던 대원들은 누가 4캠프에 남았는지 알수가 없었다.

베이스캠프에서는 망원경으로 미리 루트를 파악하고 공격조에게 정상으로 가는 길을 안내했다. 오전 9시 10분 공격조와 교신한 베이스캠프는 임영택 대원이 4캠프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당초 원정대는 킨스호퍼 루트를 따라 등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조형규 대장은 망원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른 루트를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킨스호퍼 루트는 정상으로 이어지는 왼쪽 능선을 타고 전위봉을 거쳐 정상으로 가야 하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큰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조형규 대장은 또 1985년 폴란드의 유명 여성 산악인 반다 루트키에비츠가 오른 전위봉과 정상 사이 중앙 골짜기로 곧바로 올라 오른쪽 정상으로 돌아가는 루트는 눈이 많으면 1시간 이상 걸린다는 보고서를 읽었기 때문에 새로운 루트를 찾기 시작했다.

결국 조 대장은 낭가파르바트 좌측 전위봉과 정상 사이의 가운데 쿨르와르를 오르다가 오른쪽 너덜지대를 통과, 오른쪽 정상으로 오르는 루트를 선택했다. 정상 공격을 시작한 지 6시간 정도가 지나자 날씨가 나빠졌다. 오전 11시 30분 베이스캠프에는 눈과 우박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강한 바람과 천둥번개도 치고 있었다. 베이스캠프의 악천후를 아는지 모르는지 박희택 대원과 광주 우암팀 김주현 대원은 전진을 계속하고 있었다. 3시간 정도 계속되던 악천후는 오후 2시 30분 구름이 걷히면서 정상 부위가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1시간이 지나자 정상에 햇빛이 찾아들었다. 정상 공격조가 거의 정상에 도착할 시간이 되었지만 무전이 되질 않았다. 베이스캠프에서는 계속 호출했지만 공격조는 답이 없었다. 침묵이 흘렀다. 베이스캠프에 있던 대원들의 입이 타 들어갔다. 오후 3시 15분 드디어 무전이 날아들었다. 박희택 대원이었다. “베이스캠프, 여기는 정상이다. 정상이 틀림없는 것 같다.” 순간 베이스캠프에서는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대원들은 자신이 등정한 것처럼 한마음으로 기쁨을 누렸다. 광주 우암팀 김주현도 역시 등정에 성공해 베이스캠프는 축제 분위기였다. 1992년 한국원정대가 낭가파르바트에서 시즌 첫 등정이라는 쾌거였다.

 
홀로 정상에 선 송재득 대원이 직접 사진을 찍었다. 얼마나 힘든 등반이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기쁨은 잠시였다. 2시간 뒤에 정상에 선 송재득 대원이 탈진하면서 박희택과 송재득 앞에는 죽음의 하산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조형규 대장은 마음을 진정시키며 박희택 대원에게 지시했다. “희택아! 등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진을 완벽하게 촬영해라. 내려올 때 안전에 특별히 주의해서 하산해라. 그리고 송재득 대원이 올라올 때까지 기다려라.”

박희택 대원은 정상에서 사진 촬영을 마치고 송재득 대원이 올라오기를 기다렸다. 그는 기다리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1978년 라인홀드 매스너가 정상 등정을 증명하기 위해 묻었던 기념물을 찾기 시작했다. 라인홀트 매스너는 1970년 동생 귄터 매스너와 초등한 이후 1978년 단독으로 두 번째 등정했다. 그러나 재등 당시 카메라가 고장 나면서 사진을 찍을 수가 없었다. 매스너는 사진 대신 오스트리아 산악인 이름이 적힌 종이를 깡통에 넣고 묻었다. 박희택은 매스너의 깡통을 어렵지 않게 찾았다. 그는 종이에 자신의 이름을 적을 계획이었지만 볼펜이 없어 자신의 목걸이를 등정 기념물로 남겨두었다. 23년이 지난 2005년 김창호·이현조는 낭가파르바트 등정에 성공한 이후 매스너 깡통을 찾아 내려왔다.

 
6월 29일 새벽 5시 20분 4캠프를 출반한 박희택, 송재득 대원은 정상에 오른 지 17시간 만인 밤 10시 25분 4캠프로 돌아왔다.
오후 4시 40분 김주현 대원은 이미 1시간 전에 하산했다. 박희택 대원은 정상에서 1시간 넘게 머물렀지만 송재득 대원은 오지 않았다. 박희택 대원은 추위로 더 이상 머무를 수가 없었다. 박희택은 베이스캠프에 무전기로 보고했다. 조형규 대장은 결국 박희택 대원에게 100여 미터를 하산하라고 지시했다.

박희택은 하산 도중 송재득 대원을 만났다. 박희택은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내려가는 길에 송재득을 만났다. 컨디션이 어떻냐고 물었더니 반드시 정상에 가겠다고 했다. 정상에 가려는 의지가 확고했다.”

그는 이 사실을 베이스캠프에 보고했다. 베이스캠프에서는 등정 후 하산하는 시간 등을 검토한 후 송재득 대원을 정상으로 보내라고 지시했다. 송재득은 베이스캠프 승낙을 얻고 정상으로 향했다. 1시간 후인 5시 40분 송재득은 낭가파르바트 정상에 설 수 있었다. 정말로 정상에 선 기쁨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정상에는 이미 어둠이 내리기 시작했다. 송재득은 쏜살같이 밀려오는 어둠을 걱정했다. 또 밑에서 오랫동안 기다리고 있을 박희택을 생각하자 마음이 급해졌다. 그는 조급하게 하산하다 발목을 다치고 말았다. 하산 속도는 늦어졌고 박희택과 만났을 때 이미 그는 탈진한 상태였다. 박희택은 이 사실을 베이스캠프에 알리고 구조를 요청했다. “재득이가 걷지를 못한다. 지원바란다.”

조형규 대장은 다급하게 명령했다. “끝까지 재득이를 데리고 하산해라, 희택아 포기하지 마라.” 조 대장은 곧바로 2차 정상 공격조에 구조를 지시했다. 당시 3캠프에는 박쾌돈, 오세철, 임종범이 대기하고 있었고 2캠프에는 3차 정상 공격조로 강덕문, 김화곤, 이명룡 대원이 머물고 있었다. 조형규 대장의 명령에 따라 2~3캠프에서 대기하고 있던 대원들은 구조작업에 나섰다. 정상에 서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았지만 두 명의 대원들을 안전하게 하산시키는 것이 급선무였다.

 
3캠프에서 4캠프로 트래버스(traverse)하고 있는 대원들.
조형규 대장은 박희택 대원에게 단호하게 명령했다. “희택아! 재득이를 포기하지 마라.” 조형규 대장은 “희택아! 재득이를 포기하지 마라”고 반복했다. 그가 박희택에게 해줄 수 있는 다른 말은 없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조형규 대장의 명령은 애원의 목소리로 변하기 시작했다.

낭가파르바트 전체에 어둠이 깔린 오후 7시. 박희택은 필사적으로 송재득을 부축하며 하산을 시작했다. 박희택은 절망감이 밀려왔다. 그는 회상했다. “재득이는 비틀거리며 한 발을 내디딜 때마다 넘어졌다. 계속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됐다. 정말 앞이 캄캄했다. 과연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을까?”

다행히 광주 우암팀 김주현 대원이 두고 내려간 자일을 이용하면서 안전은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였다. 그러나 주위는 어둠 속으로 사라져 앞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발 7550m의 4캠프로 귀환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박희택은 다시 고민하기 했다. 그는 산악인으로서가 아닌 인간으로서 갈등을 겪었다. 박희택은 다시 고민에 빠졌다. 그리고 그는 이렇게 지난 사건을 되돌아봤다.

“같이 죽느냐? 아니면 혼자 내려가느냐?” 그는 수천 번을 고민하고 결정하고 번복하기를 수없이 했다. 박희택은 회상했다. “정말 엄청나게 고민했다. 같이 가기에는 너무 힘이 들었다. 그렇다고 두고 가면 대원들과 재득이의 가족들을 어떻게 볼 수 있을 것인가? 내 평생에 가장 고민을 많이 한 시간이었다.”

고민하는 박희택에게 조형규 대장이 설득하기 시작했다. “죽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같이 죽고, 살려면 같이 살기를 바란다.” 박희택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그는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며 송재득과 함께 아주 조심스럽게 그리고 천천히 아래로 향했다. 늦은 하산이었지만 시간은 흘렀고, 그들은 차츰차츰 고도를 낮춰 갔다. 하산을 시작한 지 2시간여 만에 그들은 4캠프로 무사히 내려올 수 있었다. 헤드 랜턴으로 베이스캠프에 도착 사실을 알렸다. 베이스캠프에서는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6월 30일 정상 공격을 준비했던 대원들은 하산하는 두 대원과 함께 베이스캠프로 무사히 하산했다. 2~3차 정상 공격을 준비한 대원들은 체력이 남아 있었고 컨디션도 좋아 등정 욕심을 모두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등정을 포기하고 탈진한 대원들을 안전하게 하산하는 진정한 용기를 보여주었다. 박희택 대원도 탈진한 송재득 대원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함께 하산해 진정한 산 사나이들의 멋진 우정을 과시했다.

조형규 대장은 회상했다. “히말라야 원정은 준비부터 등반 과정, 한국으로 돌아오는 순간까지 긴장과 기다림의 연속이다. 지난 1년간 국내에서 숱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훈련하며 ‘운명의 산’ 낭가파르바트에 오기 위해 대원들이 흘렸던 땀과 눈물을 보상받는 순간이었다. 눈물을 흘린 후 환한 미소를 짓는 대원들을 보면서 가장 큰 보람을 느꼈다. 무엇보다 대원을 잃지 않고 모두 돌아온 것이 가장 완벽한 등반이었다.”

박명환 경남산악연맹 부회장·경남과학교육원 홍보팀장

 
2캠프로 오르고 있는 박쾌돈 대원.
1캠프로 향하는 대원들.
5월의 마지막 날 1캠프를 설치했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히말라야로 대원들을 보낸 부인들은 등정 소식에 다음과 같은 글을 보냈다.

[낭군님께 올리는 글]



너무나도 기쁘고 반가운 소식.

무엇으로 표현하오리까.

모두들 어찌할 줄 몰라 뜬 눈으로 밤을 지샜나이다.

마음조인 두 달은 어디로 가고 기쁨만 충만한 오늘….

이 기쁜 소식 무엇으로 표현하오리까.



고된 훈련의 지난 1년 정상으로 다 씻어구나.

멋지고 훌륭한 낭군님의 모습 눈부셔 어찌 뵈오리.

보고싶고, 그립고, 안기고 싶은 날들 많았건만

어찌하여 뵈오리.



한국의 남아들, 경남의 남아들, 우리 고장의 남아들.

세계에 이름을 떨친 남아들이여.

장하시오. 훌륭하시오.

그 빛나고 그을린 얼굴, 어찌하여 뵈오리.



부족한 여인네들 훌륭하시고 장하시고 멋진 남편들게

머리숙여 무릎꿇어 경하드리나이다. 축하드리나이다.

금의 환향 하시는 날 편안히 모시겠나이다.



너무나도 기쁘고 반가운 소식

무엇으로 표현하오리까.

-전 대원 각시 드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