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부산·울산, 먹거리공동체사업 추진
경남·부산·울산, 먹거리공동체사업 추진
  • 이웅재
  • 승인 2021.02.18 15: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부울 동남권메가시티 협력사업
부-경 우선 시행, 울산은 연말 합류
광역지역푸드플랜 3개 시도 win-win
광역먹거리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계획도. 생산과 소비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지역별 먹거리 수급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광역 먹거리에 대한 기관 간 통합 수·발주로 계획 생산에 기여하게 된다.
경남-부산 먹거리 공동체 실현 추진 체계도. 경남의 먹거리 통합지원센터와 부산의 학교·공공 급식지원센터, 그리고 생산자와 소비자간 유기적 연계 체계를 구축한다.


옛 경남이 다시 뭉친다. 동남권메가시티가 그 실체다. 동남권메가시티는 행정적 통합이 아닌 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체 개념으로 비대해진 수도권 지자체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경남과 부산, 울산을 하나의 경제 공동체로 묶자는 동남권메가시티 계획에 따라 ‘먹거리 산업’이 선도 주자로 나섰다.

경남도에 따르면 경남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농수축산물을 부산시 학교급식과 공공급식으로 공급하는 ‘부산-경남 광역지역푸드플랜 통합 추진계획’이 지난해 11월 확정됐다. 경남과 부산에 이어 울산시도 올해 말 광역지역푸드플랜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경남·부산·울산 시도지사는 지난 2019년 3월 경제·문화·교통·먹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동남권 상생발전 협약’을 체결하고, 먹거리 분야 공동체 실현을 구체화하는 부울경 공동과제에 착수했다.

먼저 시행에 들어가는 ‘부산-경남 광역지역푸드플랜’은 생산과 소비 여건을 반영한 먹거리공동체를 통해 동남권메가시티 구상을 현실화하는 것으로, 농촌지역(경남)의 소비확대와 도시지역(부산)의 좋은 먹거리 수급이란 상생(win-win)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광역단위 먹거리 통합 체계(부산-경남 공공급식 식자재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생산과 공급, 소비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가능케 하는 각종 지원시스템을 갖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축된 경남의 김해먹거리통합지원센터와 부산의 학교급식지원센터(금정·강서·기장구)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농산물과 양곡류, 축산물 등을 학교급식으로 공급하는 1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그리고 2단계는 2023년부터 2024까지 경남의 김해먹거리통합지원센터에 창원·창녕·밀양센터가 동참해 부산의 학교급식지원센터 8개소와 공공급식지원센터 5개소에 농산물과 양곡류, 축산물과 함께 가공품 등을 공급하게 된다.

1단계 사업으로 부산시 612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2021년과 2022년은 각각 250억원과 300억원의 공급규모가 예상된다.

그리고 2단계 사업을 추진하는 2023년과 2024년은 각각 650억원과 2000억원 이상으로 공급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공급대상이 부산시 전 학교와 공공급식으로까지 확대되고, 공급 품목도 가공식품까지 포함되기 때문이다.

경남도는 기획 생산 및 연중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생산자 조직화 등 중소농 중심의 공급체계를 구축한다.

경남도에 따르면 농산물 50 품목과 축산물 30 품목, 수산물 30 품목, 가공품 13품목 등을 공공급식 주요식자제 우선 품목으로 선정하고, 중소농 중심의 생산자 조직을 통해 기획 생산을 현실화하게 된다.

또한 경남도는 수요 예측과 적정 생산 및 공급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광역먹거리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활용할 계획이다. 광역먹거리통합정보시스템은 생산과 소비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지역별 먹거리 수급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광역 먹거리에 대한 기관 간 통합 수·발주로 계획 생산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양 시도는 먹거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생산과 유통, 소비 등 전단계에 걸쳐 잔류농약과 중금속, 방사능, 병원미생물 등의 검사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조직과 소비자 간 먹거리 공동체 교류행사 등 먹거리 상생가치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양 시군은 2021년 상반기 중 ‘부산-경남이 함께하는 민·관 먹거리 원탁모임’을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경남도는 동남권메가시티 계획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울산과의 광역지역푸드플랜도 조만간 가시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경남 광역지역푸드플랜도 부산-경남 광역지역푸드플랜을 반영해 추진된다.

이후 경남과 부산, 울산 등 3개 시도는 함께 동남권 광역푸드플랜 추진 방안을 수립, ‘생산-유통-소비’의 먹거리공동체 선순환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조은구 먹거리정책 담당사무관은 “안정적인 먹거리 공급체계 구축과 도농교류를 통해 정서적 동질성을 높이고, 지역적 연계성을 강화해 먹거리공동체를 실현함으로써 동남권 메가시티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경남의 시군 먹거리 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별 조달계획을 수립하고, 참여농가를 조직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부울경 3개 시도가 참여하는 광역지역푸드플랜을 염두에 두고 지역의 생산자 육성과 조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경남도청 강광석 먹거리정책과장.
◇인터뷰/ 강광석 경남도 먹거리정책과장

-국정과제 푸드플랜을 충족하기 위해 경남도가 전담부서 먹거리정책과를 신설했다. 당면과제는

지역의 먹거리에 대한 생산과 유통, 소비 등 관련 활동을 선순환체계로 묶어서 관리, 지역 구성원 모두에게 안전하고 좋은 식품을 공급함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환경보호에 기여토록 하는 종합 관리 시스템이 지역푸드플랜이다.

경남도는 민선7기 농정분야 역점시책으로 푸드플랜을 추진하고 있다. 도정 4개년 계획의 6대 중점과제로 도농상생을 위한 먹거리 순환체계 구축을 선정했다. 이를 위해 서울, 동남권(경남, 부산, 울산)먹거리 공동체 실현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2019년 민·관 거브넌스를 통해 먹거리 핵심 전략을 마련하고, 경남형 광역지역푸드플랜을 수립했다.

경남형 광역지역푸드플랜은 ‘공공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과 ‘중소농 중심의 생산자단체 육성’, 혁신적인 비대면 판매계획 등의 ‘유통혁신 전략 추진’, ‘먹거리 거버넌스 협력체계 구축’, ‘광역단위 권역별 6차산업과 지역푸드플랜의 연계 추진’ 등 5대 핵심 실행사업을 담고 있다.

-올해 역점사업은

생산-유통-가공-소비-폐기-재활용까지 전 단계가 지역푸드플랜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계·통합, 지역 내 선순환 구조 시스템 안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농정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공공 먹거리 순환체계 구축 등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지속적인 소비로 중소농의 경영활동이 안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또한 경남과 부산의 먹거리 순환체계를 더욱 활성화해 동남권먹거리공동체를 실현하겠다. 특히 지역의 생산과 자원, 인력 등 부존자원을 활용한 6차산업을 강화하겠다.

특히 공공먹거리 선순환은 거점별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이뤄진다. 현재 김해, 거창, 남해군의 3개 먹거리통합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2022년까지 시군거점센터 9개소와 생산자 운영시설 2개소 설치를 목표로 올해는 밀양·거제·창녕·고성 등 4개 지원센터 건립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

-지역 농식품 수출 경쟁력 강화 방안은

국가별 맞춤형 해외마케팅을 전개해 도내 농식품의 수출을 확대하겠다. 기반시설 등 생산 인프라 확충을 통해 대외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 지난해는 수출 목표액 20억2000만달러 대비 78.9% 15억9400만달러(2020년 11월 기준) 수출 실적을 기록했지만 코로나19 비대면 정국에서 선방한 것으로 자체 분석하고 있다. 올해는 미주권과 중화권, 동남아 등을 대상으로 현지 바이어 활용 ‘온라인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수출 확대에 노력하겠다.

-경남도 농정 전문가로서 각오를 밝혀달라

통합적 먹거리정책(푸드플랜)은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과 지속가능한 농촌 구현, 농가소득 보장, 먹거리 취약계층 보호 등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확보하고 농정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푸드플랜의 우리 농업현장 정착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행복해지는 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순환형 로컬푸드시스템을 활성화하겠다. 특히 ‘부울경 먹거리 공동체 실현’은 동남권메가시티 공동사업의 선도주자로써 3개 시도의 먹거리 복지와도 직결된다. 성공적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이웅재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