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근 교수의 경남문단 그 뒤안길(546)
강희근 교수의 경남문단 그 뒤안길(546)
  • 경남일보
  • 승인 2021.05.20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96) 요즘 발표된 경남의 소설, 수필, 순례기(18)

 


조정자의 최근 수필은 화자가 유년에 겪었던 농촌의 서정과 농가의 생활이 그 주를 이룬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엄마의 기도’를 읽는다.

“학교 갔다 오면서 자주 길에서 쓰러졌다. 갑자기 왼쪽 옆구리가 꼬이듯이 아프면서 숨을 쉴 수가 없었다. 그럴 때 목소리가 큰 순임이가 손나팔로 소리를 지르면 먼발치서 들은 희섭이가 책가방을 진호에게 맡기고 내달려 우리 집에 알리면 아버지가 와서 업고 간다. 집에 도착하면 엄마는 뜨거운 수건을 계속 공급해 주고 아버지는 그 수건을 내 배 위에 얹어 주무르면 아픈 배가 나았다.

엄마는 내가 아프면 기도를 했다. 가만히 들으면 온갖 신들을 다 부르고 있었다. 지앙님, 하느님, 부처님, 조상님이다. 지앙님은 쥐구멍을 드나드는 쥐의 혼령인 줄 알았다. 그때는 쥐들이 워낙 많아 그리 느낄 만도 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지앙님은 제왕이란 대단한 분이었다.”

작품 속 조정자는 어릴 때 약해서 자주 길에서 쓰러졌다는 것이다. 물론 학교 갔다 오는 길이었다. 그때 곁에 있던 순임이-희섭이-진호-아버지로 이어지는 릴레이식 전달 체계가 아주 조직적이다. 그만큼 유년의 화자에게는 주변의 정다운 친구들이 많았던 것 같다. 아니면 이것이 농촌사회의 전통 두레식 상호부조의 끈끈한 유대정신의 계승이기도 했을 것이다.

어머니의 기도는 예의 그 릴레이식 표현이 달변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엄마는 우리와 나누는 말보다 신께 하는 말이 더 길었다. 이년이 죄인이니 저를 벌해 주십시오였다. 내가 아픈 것도 엄마탓이고 동생이 걱정이어도 엄마 잘못이니 용서해 달라고 빌었다.”

하루는 다섯째 언니가 소죽솥에서 끓인 뜨거운 물을 얼굴에 뒤집어쓰는 화상을 입게 되었다. 엄마는 잠도 자지 않고 기도했다.“소독하면서 기도, 거즈를 뜯어내면서 기도, 붙이면서 기도, 상처를 보면서 기도…. 엄마의 기도는 아프다. 거의 자해에 가까웠다.” 어찌도 이 릴레이식 나열이 아픈지 필자는 화자의 농촌 유년이 아프면서 주술이고 기복의 삶이면서도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런 정서에 햇살 같은 시심이 고전적으로 존재함을 엿볼 수 있다.

다음 작품은 유시연 기행에세이 ‘이태리에서 수도원을 순례하다’(2020, 리토피아)를 읽을 차례다. 소설가 유시연은 강원도 정선에서 출생하여 동국대 예술대학원을 졸업했다. 2003년 동서문학에서 단편 <당신의 장미>로 신인상을 받은 이래 소설집 ‘알래스카에는 눈이 내리지 않는다’(문광부 우수도서), ‘쓸쓸하고도 찬란한’, ‘벽시계가 멈추었을 때’ 등을 출간했다. 현재는 진주시 수곡면에 살면서 전업작가로 소설 쓰기에 열중하고 있다.

유럽 여행을 하다 보면 가는 데마다 광장이요 성당이다. 그럴 때 흔히들 “왜 갈 곳이 성당 밖에 없어요?”하고 묻는 순진한 여행객이 있음을 본다. 그곳의 문화가 어디로부터 비롯되었는지를 알 필요가 있음을 깨우쳐 주는 말이다. 필자는 성지순례로 그리스, 터키를 돌 때 테살로니카에 있는 아리스토텔레스 광장에서 잠시 쉬고 있었다. 그 광장 근처에 ‘아리스토텔레스대학’이 있어서 그 대학의 교문이나마 들어가 보고 싶었지만 여행사에서는 스케줄 밖이어서 허락해 주지 않았다. 이곳을 들어가기 위해서 그리스철학을 테마로 하는 새로운 여정을 잡아야 함을 일게 되었다. 말하자면 전문적인 테마의 선택이 필요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설가 유시연의 이 ‘수도원 순례기’는 순례 중에서도 보다 수도원 차원의 신앙을 들여다보는 것이기에 전문성이 강한 여행이 될 것이다. 수도회는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 ‘카푸친 수도회’ 등을 비롯한 대소 수도회와 가톨릭 명승지 등으로 이어지는 의미 깊은 탐방이다. 앞으로 로마를 선택하거나 로마의 깊은 전통과 사상을 섭렵하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이 책이 하나의 좋은 텍스트가 되리라 믿는다.

‘로마의 이튿날.’ 지난밤 늦은 시간에 수녀원 문을 열어준 노수녀님, 영어로 소통이 안 되어 그림을 그려가며 애쓴 끝에 겨우 서로 알아듣고 열쇠키를 받아 좁은 엘리베이트를 타고 이층으로 올라갔다. 의사소통은 어려웠지만 두 분 수녀의 밝은 미소가 이름디웠다. 숙소는 아주 소박했다.

유럽의 수도원은 운영이 어려워 고난을 겪기도 한다. 중세시대에는 귀족의 후원으로 수도원을 꾸려갔다. 한눈에 보기에도 숙소는 낡아 보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