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일춘추]안약과 당귀
[경일춘추]안약과 당귀
  • 경남일보
  • 승인 2021.06.28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태갑 (한국선비연구원 사무처장)
 

 

1553년(명종 8년) 퇴계선생이 남명선생에게 편지를 썼다. “임금이 성스러워 육품직에 서임하는 은전을 내리시니 군신간의 윤리를 저버리지 말고 조정에 나오라”는 애정 어린 권유였다.

남명의 답신은 이러했다. “자신은 헛된 이름을 얻음으로써 세상을 속이고 있을 뿐이며 다리를 절게 되어 잘 걷지 못하고 눈병이 나서 사물을 바로 보지 못한지가 여러 해 되었는데 발운산(안약)을 구해 제 눈을 밝게 열어주시지 않겠습니까?” 남명선생은 72세까지 사셨고 편지가 오간 53세 때는 학문적, 신체적으로 매우 왕성한 활동을 하던 시기였기에 눈병으로 사물을 바로 보지 못한지 여러 해가 되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겠다.

이는 12살 어린 임금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와 외삼촌인 윤원형의 그릇된 정치가 극에 달했던 명종시대에 임금이 내리는 특전을 눈병을 핑계로 거절하면서 내가 보는 조정은 그렇지 않은데 퇴계선생이 임금과 조정의 덕을 이야기하니 내 눈이 잘못 된 거라면 안약을 보내 고쳐달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한 퇴계선생의 답신은 이러했다. “저 자신은 당귀(當歸)를 찾는데도 얻지 못하니 어찌 공을 위하여 발운산을 모색해 보겠습니까? 공은 북쪽으로 올 뜻이 없지만 나는 조만간 남쪽으로 갈 것입니다.”

벼슬을 사양한 2년 후 남명선생은 명종에게 5000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상소라는 을묘사직소(일명 단성소)를 올려 왕과 조정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나라와 백성을 위해 정치를 바로 세울 것을 설파했다.

만약 남명선생이 벼슬에 눈이 멀어 백성의 지탄을 받는 조정에 가벼이 나아갔다면 태산준령 같이 울림이 큰 단성소를 어찌 역사에 남길 수 있었겠는가?

또한 선비들의 목숨을 쉬이 여긴 서슬 퍼런 정권에 눌려 목소리를 죽여 가며 은인자중하던 선비사회가 남명의 단성소가 없었다면 어찌 다시 깨어나고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었겠는가?

이처럼 남명은 벼슬을 받지 않음으로써 꿋꿋함을 유지했고 왕이 아닌 나라와 백성의 편에 남아 선비사회의 표상으로 밝은 빛이 되었다.

‘안약과 당귀’로 상징되는 이 편지들을 통해 나아갈 때가 아님을 직시한 남명의 시대적 상황인식과 조정이 어지러울 때 낙향을 선택했던 퇴계의 출처관(出處觀)을 유추해 보면서 최근 하루가 멀다 하고 나타나는 대통령 병에 걸린 수많은 사람들이 이처럼 품격 높은 사상과 정신을 알고는 있는지 안타까운 가슴을 쓸어내 본다.

박태갑 (한국선비연구원 사무처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