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일춘추]신종 품앗이
[경일춘추]신종 품앗이
  • 경남일보
  • 승인 2021.10.25 16:36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희 (시인 프리랜서)
 



‘품앗이’는 이름도 예쁘지만 그 내용이 더 아름다운 우리말이다. ‘품’과 ‘앗이’의 합성어로 ‘힘든 일을 서로 거들어 주면서 품을 지고 갚는다는 말’이다. 품꾼은 품삯을 받고 일하는 놉(일꾼)이지만 품앗이는 금전거래가 아닌 ‘노동력의 교환’이다. 그렇기에 인간미가 진하게 배여 있다.

예전의 우리 농촌사회는 젊은이들이 많았다. 그래서 대부분의 농사일은 품앗이로 해결했다. 골목에는 개구쟁이들로 활기가 넘쳤고 들에는 덩치 큰 장정들로 논이 좁았으며, 콩·고구마 밭에는 여인들의 수다가 밭고랑을 타고 다녔다.

그러나 지금의 농촌은 눈을 닦고 봐도 꼬맹이 하나 없다. 오직 황금들판에는 외로운 콤바인이 ‘품앗이가 뭐냐’는 듯 굉음을 내고 돌고 있다. 밭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묵정밭의 허수아비는 사람 구경을 못해 산새들과 들짐승의 노리개가 된지 오래다. 그곳은 눈물과 콧물이 배여 있고 웃음과 희망이 넘쳐났던 곳이 아닌가. 서로의 밭을 오가며 호미로 지심(김)을 매다가, 막걸리 한잔으로 갈증을 달래면서 힘든 노동을 웃음으로 승화시켰다.

때로는 알토란같은 자식들이 애를 먹인다거나, 모진 시어미의 시집살이가 고달프다거나 웬수같은 남편이 한눈을 판다면서 신세타령을 했다.

여인네들의 고된 삶의 스트레스는 이렇게 이야기로 풀어졌고, 희망으로 다시 일어섰던 그 동력이 바로 ‘품앗이’이었던 것이다.

그랬던 품앗이가 이젠 ‘댓글 품앗이’로 바뀌었다. 논밭에서 벗어나 각종 SNS에서 댓글로 품을 주고받게 되는 시대로 변했다. 가령 내가 댓글을 남기면 저는 답글을 달아야 하고 또 댓글도 줘야 한다. 그래야 팔로우 관계가 유지되어 랜선의 정(情)이 오고 간다. 이런 랜선 품앗이는 정신적으로 피곤할 때가 많다. 농촌 품앗이는 육체적으로는 피곤했지만 그래도 정신적으로는 건강했다. 하지만 랜선 품앗이는 무척 힘들다. 답글을 달지 않으면 무시한다는 오해를 받기 십상이고 얼굴이 없다는 핑계로 악플도 달릴 수 있다. 혹자는 악플(惡-reply)이 무플(無-reply)보다 낫다고 말을 하지만 아닌 것 같다. 정신을 해치거나 하등의 도움도 안 되는 말, 또는 어디서 복사해서 이어붙이는 기계적인 댓글은 정말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 오히려 무플이 나은 것 같다. 진심 어린 선플(善-reply)로 댓글 품을 주고받자. 이제는 건강한 신종 품앗이로 랜선을 기름진 밭으로 바꾸어야 할 때다.

이정희 시인 프리랜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박상욱 2021-11-02 18:15:43
품앗이’의 사전적 의미로 알고 있었는데 우리말로 내용이 더 아름답다고 설명해주시니 마음에 더 남습니다
힘든 일을 서로 거들어 주면서 품을 지고 갚는다는 말인데 품꾼은 품삯을 받고 일하는 놉(일꾼)이지만 품앗이는 금전거래가 아닌 노동력의 교환 ..그쵸 인간미가 있습니다 물질만능주의와는 다른..사람들의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배워가는 계기가 되길 바래봅니다

우병택 2021-10-28 09:46:06
현대인은 잠을 깨는 순간부터 요 위에서 일이 시작된다. 주부는 출근하는 남편을 위해 아침 식단 준비는 어떻게 할지를 검색해 본다. 그런데 벌써 들어와 있는 sns는 답글을 기다린지 오랜 듯. 끝없이 이어져 있다.
우선 아침 식단부터 준비해야지. 그러는 사이에도 끊임 없이 들어오는 울림에 신경이 쓰인다ㅡ품앗이~1960~1980년대까지도 농촌을 떠올렸다. 모내기, 보리타작, 논에 물대기ㅡ가을이면 더 분주해진다. 나락 베기부터, 콩대,고춧대 뽑기,무,배추 갈무리하기 등, 무엇하나 혼자 힘으론 어려웠기에 놉이라 불러가며 이웃과 함께 했었다. 농삿일이 적으면 많은 집에서
그만큼 보태줬다.
그러나 sns는 품앗이를 넘어 고역이다.심지어 기껏 애써 쌓은 정마저 무너지기 십상이니까. 잘,읽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