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쌍계사·불일폭포 ‘명승’ 지정
문화재청 쌍계사·불일폭포 ‘명승’ 지정
  • 김윤관
  • 승인 2022.09.14 1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승려 지눌·대학자 최치원 자취
지리산 대표 명소, 빼어난 절경에 역사·학술적 가치 커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예로부터 절경으로 꼽혀 온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가 국가지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하동군의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은 지리산을 대표하는 명소로 잘 알려져 있다.

이곳을 다녀간 사람들은 수많은 시문과 여행기를 남겼는데 문인묵객(文人墨客·시·서화 등의 문사를 하는 사람)들이 손꼽아 예찬한 장소로도 유명하다.

특히 지리산 10경 중 하나인 불일폭포는 높이가 약 60m에 이르는 데다 높낮이가 큰 물의 흐름과 우렁찬 물소리, 주변의 기암괴석 등이 어우러져 웅장하면서도 수려한 경관을 이룬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이야기에는 폭포 아래 소(沼)에 살던 용이 승천하면서 청학봉과 백학봉을 만들고 그 사이로 물이 흘러 폭포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불일폭포는 고려시대 승려인 보조국사 지눌(1158∼1210)과 연이 닿아있는 곳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불일’이라는 명칭은 고려 제21대 왕 희종이 지눌에게 ‘불일보조’(佛日普照)라는 시호를 내린 것에서 유래하는데 지눌이 수도하며 머문 곳에 이 명칭을 붙여 부른다고 한다.

불일사상의 요람인 쌍계사는 통일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절은 신라 성덕왕 재위기였던 724년 ‘옥천사’로 창건했으나 이후 정강왕 때 ‘쌍계사’로 이름을 바꿨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2년 중건(重建)했다.

쌍계사 일대를 이야기할 때는 신라 말 대학자인 고운 최치원을 빼놓을 수 없다. 최치원은 쌍계사 가람(伽藍·사찰)이 사찰 입구에 있는 일주문부터 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인 대웅전까지 확장하는 모습이 호리병과 닮았다며 ‘호리병 속의 별천지’(壺中別有天)로 묘사했다고 한다.

고려시대 이인로가 펴낸 ‘파한집’(破閑集)에는 쌍계석문(雙磎石門)과 청학동이 소개돼 있는데 ‘최치원의 신선 사상이 깃든 이상향’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문화재청은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의 경관뿐 아니라 역사적·학술적 가치도 크다고 평가했다.

쌍계사 일원에는 국보 ‘진감선사탑비’와 보물 ‘하동 쌍계사 대웅전’ 등 20점이 넘는 문화재가 존재하며, 불일폭포로 가는 지리산 수림에는 스님들이 왕래하던 옛길 등이 잘 남아있다.

지눌이 머물렀다는 불일암, 최치원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 완폭대 각석(翫瀑臺 刻石) 등 옛 명승 자원도 고스란히 보존돼 가치를 더한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명승 지정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김윤관기자·일부연합



 
문화재청이 하동군의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사진은 쌍계사 대웅전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이 하동군의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사진은 불일폭포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