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직업계고 학점제, 함께 성장하고 나눈다
직업계고 학점제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 이해 및 우수 운영 사례 공유
직업계고 학점제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 이해 및 우수 운영 사례 공유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은 19일 오후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시청각실에서 직업계고 고교학점제의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도내 36개 학교 직업계고 교감과 담당 교사가 참석했다.
직업계고 고교학점제는 산업체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학과 내, 학과 간, 학교 간, 학교 밖’ 4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학과 내 세부전공 코스, 학과 간 타 학과 융합형 교육과정 및 부전공 이수,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등 학생 선택 중심 과정이다.
첫째 특강은 교육부 직업계고 학점제 자문단으로 활동한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의 전수정 교사가 선도학교 운영 필수과제인 학교 규정 정비,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계획, 학생생활기록부 기재 등 학교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특강은 서울 은평미디텍고등학교 박명갑 교장이 특성화고의 학과 개편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공유한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정우리 교사는“학점제 전면 도입 전에 반드시 정비해야 할 각종 학교 규정이나 절차, 사례를 중심으로 안내하여 이해하기 쉬웠으며,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다시 한번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김경규 진로교육과장은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로 설계를 돕고, 지역·기업·학교가 함께 하는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기술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현장을 더욱 촘촘하게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경상남도교육청 제공
저작권자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