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한국조형예술원 지리산아트팜캠퍼스 학장

수년 전부터 인구소멸 이슈로 지역(마을) 인구 늘리기 정책이 우후죽순처럼 나왔다. 다수가 성공했다고 보기 어려운 결과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미 바뀐 글로컬(Glocal) 시대정신과 로컬(지역)에 대한 개념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한다.
로컬은 도시의 상대개념 ‘시골’이 아닌 ‘지역 문화성’을 뜻한다. 뉴욕의 맨해튼도 로컬이며, 지리산 하동의 삼화실도 로컬이다. 로컬이 서로 연결된 글로컬 현상인 지구촌 초연결 시대는 경계와 구분이 없어지며, 누구나 소비자이자 공급자가 된다. 따라서 글로컬 시대정신에 맞는 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장면#2 며칠 전 여수 심포니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에 다녀왔다. 음악회 수준이 예상을 훨씬 뛰어넘어 깜짝 놀랐다. 전남의 여수지역에서 열린 음악회가 서울의 예술의전당과 다름없었다. 규모가 제법 큰 연주장을 가득 메운 관객이며, 기립박수 호응 등 내용으로도 이미 수준급이었다. 개인이 운영하는 단체인데도, 전남도와 여수시가 매년 1억여 원이 넘는 예산을 지원하며, 관객 유치를 위한 홍보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란다. 글로컬 수준의 음악회를 여는 민간단체와 행정지원, 공공예산이 함께 일궈낸 로컬 행복 찾기의 모범 사례다.
로컬 행복 찾기는 로컬의 자존감을 회복시키며 인구도 늘 것이다. 글로컬 시대의 로컬 행복 찾기를 위한 열린 지혜가 꼭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