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도의원, 지방항공 MRO산업 없애는 것 주장
유계현 도의원 “기초단체 간의 상생관계 구축해야”
노치환 도의원 “닥터헬기 도입에 부울경 협력할 것”
최학범 도의원 “수산물 브랜드 마케팅 실시 필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은 안된다는 주장이 도의회에서 나왔다.
김현철 의원(사천2·국민의힘)은 21일 열린 제407회 경남도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2017년 12월 국토교통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를 항공MRO 사업자로 선정한 후 경남도와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대한민국 항공MRO사업의 발전을 위해 쉼 없이 달려왔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물동량 기준으로 세계 제2위의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항공MRO를 직접 할 수 있도록 인천국제공항공사법을 개정하는 것은 이제 막 뿌리내리려는 지방의 항공MRO산업을 짓밟아 없애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항공MRO 산업의 양분화로 중복투자, 예산낭비 등 국가균형발전에 어긋나며, 항공정비산업에 대한 정부의 선택과 집중 육성정책에도 역행하는 것”이라며 “법 개정은 수도권으로 치중된 일자리의 쏠림현상과 도시의 비대칭 발전 현상 역시 더욱더 심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계현 의원(진주4·국민의힘)은 기초단체 간의 상생관계 구축에 도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유 의원은 “2000년대 이후 블랙홀과 같은 수도권 초집중화 현상으로 지방은 날로 황폐해지고 있으며 엎친데 덮친 격으로 저출생과 지역소멸의 심화로 지방은 그 존폐를 걱정할 정도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러한 현상이 특정 지역의 특수한 문제가 아니라 거의 모든 지방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초단체 간 칸막이의 존재로 가뜩이나 부족한 경쟁력이 더욱 소진되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초단체 간 상생적 관계 구축은 지리적·역사적·문화적 일체감을 이루며 동일 생활권으로서의 지역 정체성을 공유하는 지역끼리 가능하리라 생각된다”며 경남도의 각별한 관심을 촉구했다.
노치환 의원(비례·국민의힘)은 닥터헬기의 조속한 도입에 부·울·경이 공동으로 나서자고 제안했다.
노 의원은 “경남은 전국 면적의 10.6%를 차지하며 광역 16개 시·도 중 4번째로 크고, 전국 광역지자체 중 전남 다음으로 유인도가 많다. 경남을 5개의 지역 진료권역(거창권, 진주권, 창원권, 김해권, 통영권)으로 나눴을 때 거창권과 통영권의 중증응급질환 및 중증외상 환자의 응급실 관내 이용률이 0%로, 두 권역에 중증응급환자를 치료할 의료기관이 없기 때문에 높은 사망률로 이어진다고 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노 의원은 부·울·경의 공동 의제로 닥터 헬기의 조속한 도입을 제안하며 아울러 닥터 카 도입 및 119구급대와 경찰의 협조에 대한 경남도의 역할도 강조했다.
최학범 의원(김해1·국민의힘)은 경남 수산물 안전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구축하며,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산물 브랜드 마케팅을 경남 수산물 소비촉진 방안으로 제시했다. 김순철기자 ksc2@gnnews.co.kr 김현철 의원 유계현 의원 노치환 의원 최학범 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