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의원은 “외교통일위원장으로서 국제 정세의 흐름을 읽는 눈과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을 근거로 국정감사가 정쟁의 장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국익의 입장에서 꼼꼼히 점검할 계획”이라고 21대 마지막 국감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외교통일위원회는 강제징용 해법,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등 한일관계를 둘러싸고 갈등과 대립이 있었지만, 한미동맹 70주년 결의안, 튀르키에 지진 피해 결의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키고, 재외동포 사회의 숙원이던 재외동포청 설립을 뒷받침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도 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올해 외통위 국정감사 현안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가 많이 거론될 것으로 보이고, 통일부 관련 현안은 실존적 위협이 된 북한 핵 문제와 함께 통일부 개편 이후 중점을 둘 북한 인권 문제가 비중있게 다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태호 위원장은 “외교안보는 언뜻 보기에는 민생과 직접 관련이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국익과 직결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민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외통위 국감을 ‘국익국감’, ‘민생국감’이 되도록 위원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무엇보다 국정감사에 임하는 의원들이 당을 떠나 민생과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자세로 접근하는 것이 ‘민생국감’을 실현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외교통일위원장으로서 국정감사를 이끌어가면서, ‘민생국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운영의 묘를 잘 살리도록 할 각오다
김 위원장은 “외교안보는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 만큼 정권이 바뀌더라도 큰 틀에서 변하지 않고 일관성있게 추진돼야 한다”며 독일 통일이 가능했던 것도 정권에 관계 없이 동방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지난 정부 동안 국민적 합의와는 거리가 있는 정책들이 일방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윤석열 정부에서 이를 바로잡아가고 있다”밝혔다.
이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외교안보정책의 근간을 세우고,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려고 노력해서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그런 희망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희망했다. 하승우기자

저작권자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