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댐 피해대책

변옥윤 (객원논설위원)

2012-10-11     경남일보

남강댐은 1969년에 완공된 다목적 댐이다. 수력발전은 물론 홍수조절 기능까지 담당하고 있다. 경남의 상수원으로도 큰 몫을 하고 있다. 댐 건설 이후 비만 오면 물에 잠겼던 많은 농경지가 문전옥답으로 변해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크게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댐이 생기면서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도 있다. 홍수가 발생하면 댐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한꺼번에 쏟아내는 방류수로 인한 피해가 그것이다. 남강댐은 본류인 남강 외에 사천만쪽으로 인공 방수로를 만들어 물을 빼내고 있다. 지금은 본류보다 방수로쪽 방류량이 훨씬 많아 유역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천만의 피해는 생태환경 변화로 인한 어업권과 저지대 침수, 씻겨져 내려온 토사와 쓰레기의 퇴적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남강댐 건설 이후 43년간 이어져 온 상황이다. 수많은 어민들이 바다환경의 피폐로 생업의 터전을 잃고 사천만을 떠났다. 그러나 보상과 대책을 둘러싼 지루한 공방만 계속된 채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이 같은 숙원 해결을 놓고 시민단체와 국토해양부·수자원공사·남강댐관리단간 9일 열린 간담회에서의 구두상 합의사항에 대해 ‘진실공방’이 벌이지고 있다. 사천시민대책위는 ‘(구두상) 합의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수자원공사는 ‘합의된 적이 없다’고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의 주장이 맞는 지 가늠하기가 어렵다.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 남강댐관리단 등 이해관계가 얽힌 기관·단체와 사천만에 대한 시민대책위가 다시 만나 슬기롭게 해법을 찾아보기를 주문해 본다. 지역에서는 원만하게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다.

변옥윤·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