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계획에 확정된 지리산 댐건설 안된다

2013-01-10     경남일보
국토부가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에 ‘지리산 댐(문정 댐)’을 건설하려는 장기계획을 기어이 확정 발표하자 진주를 비롯, 환경단체와 주민들의 반발이 다시 일기 시작했다. 국토해양부는 수자원 확보와 홍수예방을 위해 2021년까지 한강·낙동강·금강 등 수계에 4개의 다목적댐 등 6개의 댐과 지자체가 건의한 8개의 지역 소규모 댐 등 모두 14개의 댐을 건설하는 내용의 ‘댐 건설 장기계획(2012~2021년)’을 확정했다. 6개의 댐 중 문정홍수조절댐은 1억7000만㎥의 저수용량과 1억2100만㎥의 홍수조절 기능을 갖춰 규모가 가장 크다.

지리산은 국립공원 1호로 지정될 만큼 경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각종 희귀 동식물 5000여종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다. 댐 건설은 자연환경에 미치는 피해가 커서 가급적 자제하려는 것이 최근 추세다. 지리산 댐 건설은 경남·부산지역에 남강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광역상수도 계획의 일환으로 1984년 이후 30년 가까이 국토부가 여러 차례 검토와 추진을 반복했으나 현지 영향권 내 주민들, 실상사 등 종교계와 환경보호 단체들의 거센 반발로 번번이 좌절됐던 계획이다.

가능하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강변여과수 등에서 물 부족을 해소하려는 장기적이고도 사려 깊은 정책 수립이 있어야 한다. 환경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물 부족을 해소하는 유일한 길은 조림면적을 더 넓히는 길밖에 없다고 충고하고 있기까지 하다. 지리산 댐 건설 논란은 수해가 발생한 뒤에 일어났다. 지난 1997년 남강댐 하류지역의 호우피해가 발생한 직후 홍수조절 역할을 할 지리산 댐 건설을 제기했다.

지리산은 우리 민족의 영산이요 어머니산이다. 그래서 지리산을 소중하게 가꾸고 보존해 자손만대에 물려줄 생명의 재산이자 휴식처라는 사실은 1967년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된 것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무엇보다 지리산 국립공원의 훼손과 주민들의 생활환경 파괴가 큰 문제다. 주민들의 생활터전을 송두리째 잃을 수도 있다. 지리산에 댐 건설로 말미암은 관광유인과 홍수조절 효과보다 명승지 용유담 등 지역이 가진 무진장한 자연경관의 상실감이 더 크기 때문에 장기계획에 확정된 지리산 댐 건설은 절대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