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산바' 피해복구공사 무더기 발주

거창군 공사 진행에 지역주민 "부실시공 뻔해"

2013-02-25     정철윤
지난해 태풍 ‘산바’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거창군이 수해복구공사를 무더기 발주할 것으로 알려지자 피해지역 주민들이 영농차질, 부실시공 등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거창군은 지난해 9월 태풍 산바로 남상면과 신원면 등에 집중적인 호우로 소하천 25개소 5091m. 산사태 49개소 104ha. 하천 31개소 6009m. 지방도 7개소 981m. 소규모시설 114 소 등이 유실 또는 침수돼 총 883억여 원의 피해를 봤었다.

이에 군은 수해복구공사의 빠른 마무리를 내세워 공공시설 등 총 261건(국가시행 3.도시행 8. 군 시행 250건)중 6건은 완료했고 수리시설, 농로 등 영농편익 시설은 4월 말 이전까지 완료하고 대규모 공사도 6월 말까지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건설업체 관계자와 지역주민들은 “군 건설과나 각 읍 면에서 해마다 발주하고 있는 소규모 공사가 150여 건에 달해 수해복구공사 발주까지 합치면 모두 400여 건에 달해 사실 장비나 인력을 충당하기 어려워 공기 내 공사를 마무리하기는 어려울뿐더러 공사감독도 한 공무원이 적어도 15건에 달하는 현장을 감독해야 해 부실시공이 불 보듯 뻔 하다”고 말했다.

또 주민 A씨(55. 대동리)는 “사실 군내 일반건설 8개 전문건설 173개 업체가 등록돼 있지만 기술자와 장비 인력을 제대로 갖춘 업체가 몇 개 업체가 있는지 의문이 간다”고 밝히며 “이렇게 공사를 쪼개서 발주하는 것은 지역 업체끼리 나눠먹기식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간다”고 말했다.

이에 군의 관계자는 “일부러 공사 건수는 늘리지는 않았으며 도로·하천 농로·산사태 등으로 구분돼 있다 보니 공사건수가 늘어났다고 밝히고 사실 부실시공 우려 등도 있어 읍면에서 발주하는 소규모 공사는 될 수 있는 대로 하반기에 발주하도록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