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靑 비서실장은 누구?

대선서 朴대통령 도운 정치원로

2013-08-06     김응삼
경남 거제출신이 연이어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이명박 정부시절 마지막 비서실장으로 하금열 전 실장에 이어 박근혜 정부에서 김기춘(74) 전 법무부장관이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박 대통령을 오랫동안 도와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깊고 인연도 남다르다는 점이 발탁배경으로 꼽힌다. 집권 6개월에 즈음해 하반기 국정운영에 고삐를 죄려는 박 대통령의 구상을 충실히 수행할 인물이라는 게 청와대나 여권의 설명이다. 이정현 홍보수석도 이날 브리핑에서 “하반기에 보다 적극적인 정책추진과 새로운 출발을 위해 새 청와대 인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과의 인연=김 신임 실장은 검찰총장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고 15~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인사로 박 대통령과 인연이 깊다.

김 신임 실장은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모친인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따서 만든 ‘정수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은 졸업생 모임인 상청회 회장을 지냈다. 검사 시절인 1974년에는 육영수 여사 살해범인 문세광 사건을 조사하기도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말년에는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다. 이번에 비서실장을 맡게 됨에 따라 대를 이어 ‘부녀 대통령’을 보필하게 됐다.

자신의 사위인 안상훈 서울대 교수 역시 박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인수위에서 고용복지분과 인수위원으로 활동할 정도로 인연이 남다르다.

지난 6월에는 재단법인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김 신임 실장은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등을 거치는 동안 국회에서 상임위원장 등으로 함께 활동하면서 정치철학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 왔다.

◇논란 낳는 이력=우선 유신헌법 초안 마련이 지적된다. 김 신임 실장은 검사 시절이던 지난 1972년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유신헌법 초안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안에는 긴급조치권, 국회해산권 등 유신헌법의 핵심조항들이 구체적으로 작성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1992년 12월 대선을 앞두고 벌어진 부산 초원복국집 사건의 당사자라는 점은 오랫동안 ‘꼬리표’처럼 따라 붙어다니고 있다. 당시 12월11일 부산 초원복국집에서 당시 법무장관이던 김 신임 실장은 경찰청장과 안기부 지부장 등 부산지역 관계 기관장들과 모며 김영삼 당시 여당 후보의 선거대책회의를 열었는데 이것이 야당 정주영 후보측 선거운동원들에 도청돼 공개되면서 파문을 일으켰다. “우리가 남이가”는 이때 유행했던 말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적극 참여했다는 점도 야당이 반발하는 부분이다.

김 신임 실장은 지난 2004년 국회 법사위원장 시절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함으로써 탄핵 소추위원으로 활동했다. 당시 탄핵소추는 기각됐다.

한편 김 신임 실장은 지난해 대선과정에서 박 대통령을 돕는 대표적 원로그룹인 ‘7인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박화자(71)씨와 1남2녀 ▲경남 거제 ▲경남고·서울대 법대 ▲대구고검장 ▲법무연수원장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15·16·17대 의원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 ▲한국에너지재단 이사장 ▲새누리당 상임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