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사 설비·인력 감축…대우조선 당분간 유지”

정부, 조선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2016-10-31     김응삼
정부는 조선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건조설비와 인력을 크게 줄이고, 대우조선해양은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도크 수를 현재 31개에서 24개로 23%가량 줄이고 조선 3사의 직영 인력 규모도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으로 32% 감축할 방침이다.

◇대우조선, 상선 위주로 효율화=대우조선은 대형 LNG선, 고효율 메가 컨테이너 등 차세대 신선박 사업에 나선다. 연료전지나 에너지 저감장치 등 차세대 선박추진체계를 개발하고, 첨단 기술과 건조 기술을 활용해 수출 방산사업의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빅3 유지 또는 빅2 체제 개편 등 대우조선의 향방에 대해서는 조선사별 체질개선, 경영정상화 정도, 시장 여건 등을 종합 고려해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민영화, M&A 등 산업재편을 추진할 것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채권단 관리하에 있는 대우조선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할 계획”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주인찾기’를 통해 전문성 있고 능력 있는 대주주 등의 책임경영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서는 전체적인 윤곽만 그렸을 뿐 대우조선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언제, 구조조정을 할지에 대한 세부 플랜은 담지 않은 셈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새 주인을 찾아주겠다며 민영화와 M&A에 대한 여운을 남겼다.

◇해양플랜트는 적자 지속 우려=정부는 현재 국내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해 경쟁우위, 적자지속, 경쟁열위 등 3분야로 구분했다.

경쟁우위 분야에는 대형 컨테이너, 대형 탱커, LNG선, 액화석유가스(LPG)선 등 대형·고급 상선이 포함됐다.

적자지속 분야에는 해양플랜트가 포함됐다. 건조능력은 우수하지만 설계능력이 취약하고 과당 경쟁에 따른 저가 수주 등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했다.

아직 수주 잔량이 상당하고 시추설비 비중이 높아 앞으로도 추가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핵심사업·자산 매각 후 신시장 개척=정부는 유동성 위험을 낮추기 위해 조선사별로 비핵심사업과 비생산자산에 대해 매각, 분사, 유상증자 등의 방안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해양플랜트 사업 규모를 축소하고 수익성 평가를 강화해 과잉·저가 수주를 방지할 계획이다.

우선 현대중공업은 유휴 도크 가동을 중단하고 태양광, 풍력 등 비조선해양 사업 부문 분사를 추진한다. 삼성중공업도 호텔, 선주 숙소 등 비생산자산을 매각하고 1조1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대우조선은 해양플랜트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14개 자회사와 조선소 사업장 외의 모든 부동산을 매각할 계획이다. 2018년까지 5500명의 직영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다.

◇수주 절벽 대응…11조원 규모 250척 선박 발주=아울러 정부는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11조원 규모로 250척 이상의 선박을 발주할 방침이다. 2018년까지 7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하고 2020년까지 3조7000억원의 자금을 활용해 75척의 발주를 지원한다.

또 2020년까지 대출 상환기간 연장 등 금융지원을 통해 115척의 신조 발주도 지원하기로 했다. 5년간 민관 공동으로 연구개발(R&D)에 7500억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6600명을 양성해 선박산업 고부가가치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또 연 1000억달러 규모의 선박 서비스 시장 진출을 통해 조선산업을 고부가 선박사업으로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김응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