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사드 보복 의연한 대처를

2017-04-02     임명진
지금껏 한국과 중국과의 외교 관계는 화기애애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015년 한국의 정상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의 열병식에 참석해 시진핑 주석의 극진한 대접을 받으면서 분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하지만 그런 달콤한 관계는 우리가 사드 배치를 결정하면서 틀어지기 시작했다. 본질은 북핵 위협이지만 오히려 중국은 사드 보복에 나서 인적, 물적 교류 중단이라는 경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연간 수백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발길을 끊기 시작했고, 기업들의 중국 수출도 곳곳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 중국의 이런 조치는 처음이 아니다. 센카쿠 열도의 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과 하나의 중국을 표방하면서 대만과의 분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이 보이는 행태는 문제를 해결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사드 배치의 이면에 미국이 있음에도 그 칼날이 상대적 약자인 한국에만 겨냥하고 있다는 점도 비겁해 보인다. 일련의 중국의 조치가 민족적 감정을 자극하면서 한국에서도 서서히 반중 감정이 고개를 들기 시작하고 있다. 일본과 대만도 극복한 중국의 경제적 보복을 한국이라고 극복 못 할 리가 없다. 오히려 사태가 장기화되면 중국 역시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에 긴장은 하되 조급해 할 필요는 없다.

중국 관광객 유치와 중국 시장 진출에 경쟁적으로 뛰어들었던 도내 지자체들도 중국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동남아와 미국, 유럽 등지로 시장 개척에 나서면서 새로운 판로 확대에 뛰어들고 있다.

오히려 이번 기회를 우리 지역, 우리 상품의 경쟁력을 냉철히 확인하고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