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잃기 전에 외양간부터 고치자

양철우기자

2017-05-09     양철우
최근 밀양시가 간과해선 안 될 자료들이 잇따라 나왔다. 우선 밀양시가 축소도시로 판정난 사안이다. 국토연구원은 전국 20개 지방 중소도시를 축소도시로 판정했는데 밀양시가 경남에서 유일하게 포함됐다. 축소도시란 지속적이고 심각한 인구손실로 유휴·방치 부동산이 증가하는 도시를 가리킨다.

국토연구원은 최근 연구에서 1995~2005년과 2005~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줄거나 최근 40년 동안 정점대비 25%이상 인구가 감소한 국내도시 20곳을 축소도시로 분류했다. 밀양시 인구는 1965년 통계상 최다인 21만5173명을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4년 10만7765명으로 최저점을 찍었다. 50년 만에 인구가 반 토막 난 것이다.

또 하나는 행정자치부는 앞으로 존립기반 자체가 흔들리는 지자체가 경남·북, 전남·북 등을 중심으로 속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37.1%가 향후 30년 이내 폐지될 위기에 몰릴 만큼 인구가 급감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자료를 종합해보면 ‘지방 중소도시들의 인구격감은 도시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밀양은 이미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10명 중 7명 가까이 40대 이상이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밀양은 도시소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10여년 전 선거에서 밀양대학교 폐교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진 적 있다. 시내경기가 장기간 침체된 탓이다. 그러나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밀양시가 소멸된 다음 이에 대한 책임 공방은 사실상 무의미하다.

밀양시가 지역인구정책담당을 신설하고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행자부 방침이지 자구책은 아니다. 시장이 직접 나서 밀양 소멸에 대비하는 종합적 대책마련이 시급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