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산업' 어떻게 될까

박성민기자

2017-05-21     박성민
6차 산업의 개념은 농촌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 가공(2차 산업) 및 유통, 판매,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3차 산업) 등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지난 박근혜정부 농업정책의 핵심 키워드로 농업부분의 창조경제로 불렸다. 농업 생산물에 창의력과 상상력을 더하고 식품, 의약품, 건강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형태의 가공 상품과 관광 체험 서비스 상품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농업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정책으로 받아들여졌다.

현재 6차산업은 전국의 각 지자체와 6차산업센터를 중심으로 이제 막 꽃피우기 시작했다. 농업현장에는 정권은 교체됐지만 6차산업 만큼은 그 기조가 유지되길 바라는 목소리가 크다. 계속되는 농촌 고령화와 쌀값 폭락 등 비즈니스모델이 부족한 상황에서 6차산업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미 전국에 자리잡은 각 6차산업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에 매진한다면 새 정부의 일자리 목표에도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또 창업농을 활성화해 앞으로 닥쳐올 4차산업 혁명과 연계하는 스마트·스토어팜 육성한다면 미래 먹거리산업 문제와 농촌문제를 푸는 열쇠가 될 수 있다. 다른 정책도 마찬가지지만 농업은 멀리내다보는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다. 이번 대선에서 소외됐던 농업공약을 보완할 방법으로 6차산업의 정책기조와 방향이 그 실마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