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농산물 가격이 소비자물가 인상 주범?
김육수 (경남농협 경제부본부장)

2018-02-06     경남일보
 
농산물의 일시적인 수급불안정이나, 설 명절, 추석한가위 대목 등을 앞두고 일부 농산물가격 인상으로 주부들은 농산물 가격이 장바구니 물가인상의 주범인양 인식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과연 그럴까?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농·축산물은 대략 1차 상품이 180여개 품목이고 가공제품을 포함하면 1000여 종류가 넘는다.

농산물은 생산의 계절성, 부피와 중량, 부패성이 매우 크며 수요와 공급이 비탄력적이면서 유통단계의 복잡성과 가격의 불안정성 등으로 소비자들이 일시적으로 필요한 양을 마음대로 생산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무, 배추, 마늘, 양파, 과일(사과, 배), 쇠고기 등 일부 품목은 생산(공급)대비 수요 집중현상으로 가격이 폭등할 수 있지만 농산물 전체적으로 보면 아주 미미한 수준이다.

만약 농산물이 소비자물가인상의 주범이라면 농업인의 소득이 높아야 하는데 농가소득이 연간 3800만원중 농업소득이 10년전 1100만원에서 지난해는 1047만원 2018년은 1014만원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하고 있는 것을 보아도 농업은 공산품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쌀을 예를들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8kg인데 가격으로 보면 대략 12만원 정도 된다. 만약 커피점문점의 브랜드 커피 한잔이 5000원이라고 할 경우 매일 1잔씩 마신다면 15일 동안 주식인 쌀값과 맞먹는 금액이다

또한 공산품과는 생산, 저장, 공급체계가 판이하게 다른 것이 농산물이다.

따라서 소비자와 함께하는 물가안정대책에서 농산물 가격이 소비자물가의 주범이라는 인식이 전환되어야 하며, 특히 언론 등에서는 농산물이 지닌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농산물가격의 폭등이 서민경제를 발목 잡는다는 등의 보도를 자제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육수 (경남농협 경제부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