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ESS…이번엔 하동서 화재

2년새 전국 27번째 사고 발생 LG화학 국내생산품 첫 사례

2019-10-22     백지영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했다.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2년여 사이에 27번째로 정부의 앞선 조사와 관련 회사들의 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경남도소방본부 따르면 21일 오후 하동군 진교면에 위치한 태양광발전설비의 ESS에서 불이 났다. 이 불은 4억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 피해를 낸 후 5시간 40여 분만에 완진됐다.

리튬 배터리가 물과 접촉하면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금수성 물질인 탓에 진화에 어려움이 따랐다.

도내 ESS 화재는 지난해 7월과 11월 거창에서 발생한 화재에 이어 3번째다. 도내에 설치된 ESS는 92개소다.

이번 화재가 난 ESS의 배터리 제조사는 LG화학이다. 특히 LG화학 오창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가 들어간 ESS 화재 첫 사례다.

앞선 화재들은 중국 난징 공장에서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생산한 초기 물량으로, 이 특정 제품들에만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난징공장이 아닌 다른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와 관련한 화재까지 이번에 발생한 것이다.

LG화학 측은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며 “하동에서 불이 난 ESS 배터리와 같은 모델을 쓰는 전체 사이트에 가동률을 기존 95%에서 70%로 낮추도록 우선 조치했다”고 밝혔다.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ESS 설비 화재는 총 27건이다. 2017년 8월부터 정부가 합동조사 결과를 발표한 6월까지 1년9개월 간 23건(LG화학 14건·삼성SDI 9건)이 발생했다.

정부 발표 이후부터 현재까지 4개월 동안 4건이 추가로 발생했다. 추가 화재가 난 ESS의 배터리 제조사는 전날 하동 화재를 포함해 LG화학이 3건, 삼성SDI가 1건이다.

잇따르는 ESS 화재에 생산 업체는 지난 14일 근절 대책을 나란히 발표했다.

삼성SDI는 최근 ESS 시스템 내에서 발화 현상이 발생해도 화재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하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자사 제품에 전면 도입하기로 했다.

LG화학은 화재 확산 위험성을 차단하는 제품을 준비하고 있으며, 연내에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더라도 제품 교체 등 적극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배터리 업체들은 같은 배터리를 쓰는 해외 ESS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배터리 자체 결함을 화재의 직접적 원인이라 특정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도 6월 발표 당시 화재 원인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못한 채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화재가 끊이지 않으면서 시장의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은 “한국전기안전공사를 통한 블랙박스 분석과 국과수 합동 감식 등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지영기자·일부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