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밥

손정란 (수필가)

2020-02-24     경남일보
해는 아침마다 매화산 봉우리에서 솟아오르고, 사립문 밀치고 들어온 햇살은 장독대의 항아리들을 고동색으로 빛나게 했다. 두엄 더미 옆에선 수줍은 듯 호박이 둥글둥글하다. 누렁 호박으로 범벅 죽을 끓일 때쯤 초가집 귀서까래에 참새가 둥지를 튼다.

가을걷이가 끝나고 어느 한갓진 날 밤 도래멍석 같은 둥근달이 높다. 탱자나무 울타리가 촘촘한 앞집에는 홀어미가 산다. 삼이웃의 처녀들과 시집온 지 해소수도 지나지 않은 새악시 두엇이 모여 밤참으로 비빔밥을 해 먹는다. 낮에 오명가명 살펴봤기에 내풀로 우리 집 앞이라는 걸 내세워 단발머리인 나도 잔손불림에 거든다. 바람이 소소히 일어나고 굴뚝에서 하얀 연기가 지붕 위로 살랑살랑 피어오르네. 갓밝이면 뜨르르 소문나것다. 그늘도 지고 볕도 잘 드는 산비알의 고사리 줌줌이 꺾어 옹솥에 데쳐내고 도란도란 흐르는 물에 헹구어 참기름과 깨소금 간장으로 살살 무친다. 잘 드는 손칼로 삼박삼박 소풀 베어다 슬슬 끓는 물에 도르르 굴러내어 양념 아끼지 않고 무쳤능가. 왈랑왈랑 끓는 물에 익혀 맡아보고 돌아보고 무친 도라지나물. 요리조리 다듬은 질금나물 오가리솥에 안쳐 비린내 가시고 나면 기름 치고 깨소금 뿌려 조물조물. 착착 썬 무채는 숨죽을 만큼 덖다가 어리실꿈 익혀내고. 콩나물은 까바지도록 데쳤네. 시금치는 비단 잎만 가리고 사랑옵게 우다 놓고. 참바지락과 홍합을 다져 참기름에 볶다가 무 썰어 넣고 물을 부어 한소끔 끓인다. 두부도 썰어 넣고 조선간장으로 삼삼하게 간을 맞춘 탕국 맛이 시원타.

쇠고기는 볼기 살을 사야하는 기라. 스르륵 스르륵 숫돌에 칼을 벼렸다가 얇게 저며야지. 파와 마늘을 다져 넣고 후춧가루, 배 즙, 잣가루, 깨소금으로 밑간을 한다던가. 우짜것노. 산골이라 쇠고기가 없으니 시치미 딱 떼고 뉘 집 토종닭이 낳은 달걀노른자를 척 얹었지 머.

비빔밥은 놋그릇에 담는 것이 안성맞춤인기라. 입이 넓고 볼이 움푹한 것은 제 안에 담긴 음식을 품어내니까.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을 놋그릇에 퍼 담고 일곱 가지 꽃 나물을 돌려놓는다. 탕국을 찔끔 끼얹고 나물을 이기듯이 살짝 눌러가며 쓱쓱 비빈다.

한 입 두 입, 혀가 깨금발을 뛴다. 섞임은 사람을 한 곳으로 모이게 하제. 비비고 섞이면서 아픔도 나누고 미움도 삭힐 수 있으니 맛나다. 꽃밥을 먹는 재미에 달이 기우는 것도 모른다. 시집 밥은 명치에 걸리고 친정 밥은 속살이 찐다는데 저 새악시 아무래도 광목 적삼이 시려 보인다.

가만 있거라, 으스름한 저녁 무렵 뒷집 남새밭에서 슬쩍 뽑아와 젓국물 요만큼 붓고 주물거린 실파 무침은? 없네.

 
손정란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