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총선정국 속에서 ‘두산重 해법’ 찾아야

2020-03-25     경남일보
두산중공업 사태가 제21대 총선의 창원지역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국내 유일의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제작사인 두산중공업이 지난 달 직원 구조조정에 이어, 유휴 인력에 대한 휴업까지 검토하고 있다. 최악의 경영난으로 지역 일자리 침체의 주인공으로 지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두산중공업의 경영위기 원인과 해법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총선 후보들이 이와 관련한 공약과 입장을 내놓고 있다. 두산중공업 노조도 신한울 3·4호기 공사재개를 주장하며 총선을 앞둔 정치권을 압박하고 나섰다.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도 정치권에 경영진의 책임을 묻는 방안, 중소 협력업체 지원 방안, 직원 고용 유지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 등을 검토해달라고 제안했다. 탈원전에 기반한 에너지 전환 정책의 공론화 방안과 신한울 3·4호기 재개 방안도 공약에 반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각 정당 모두 두산중공업의 경영위기 문제를 공감하면서 해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온도차가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경영실패의 책임을 국민과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경영진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고, 정부의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탈원전 정책 폐기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세계 최고의 한국형 원전산업을 복원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입장이다. 정의당과 민중당은 경영진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장기적으로 공기업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구조조정과 일부 휴업 같은 비상 경영조치만으로는 정상화 가능성이 낮다는 데 있다. 경영난 해결을 위해서는 탈원전 속도조절이 현실적이다. 무엇보다 버텨낼 시간이 문제다. 특히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얼어붙은 상황 속에서는 원전시장을 공략할 생태계 유지의 시간, 가스터빈 등 대체시장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발전산업은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기간산업이다. 단지 개별 기업만의 위기라고 볼 수 없다. 총선정국을 통해 정치권은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