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해양쓰레기 문제, 전방위적 공조 필요

2020-07-15     경남일보
바다는 미래 식량자원의 보고다. 그 바다가 해양쓰레기로 몸살이다. 특히 해양쓰레기 문제는 경남 일대 해안이 더 심하다. 정부와 해당 지자체가 쌓여가는 해양쓰레기를 해마다 수거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해양쓰레기로 인한 바다 오염은 갈수록 심해지는 추세다.

미래통합당 서일준 국회의원(거제)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2019년 5년간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때 낙동강을 거쳐 바다로 유입된 쓰레기는 8110t에 달했다. 시·군별로 보면 거제시가 3593t으로 가장 많았고, 통영시 2394t, 고성군 956t, 창원시 525t, 남해군이 510t의 해양쓰레기를 각각 수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사실은 서 의원이 14일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경남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해 밝혀졌다.

육·해상을 통해 유입되는 해양쓰레기가 너무 많아 일선 지자체가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그래서 수거되는 양 보다 방치되는 쓰레기가 더 많다. 이로 인한 2차, 3차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선박사고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해양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도 가속화되고 있다. 해양쓰레기 문제는 비단 지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가 주요 정책으로 삼을 만큼 심각한 지경에 놓여 있다. 국제 사회가 공조 방안을 모색해 해결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경남도가 시행하고 있는 ‘강하구 해양쓰레기처리사업’과 ‘해양유입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사업’ 등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해양쓰레기 수거 방식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예방, 자원화다.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사전에 예방하는데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 지역의 특성에 맞게 지역의 해양쓰레기를 재활용하는 관리 역량도 강화할 필요도 있다. 청정 경남을 위해서는 오염원을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책 마련과 함께 정부, 경남도, 지자체 등 관계기관은 물론 국가 간에도 공조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