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청년창업농 육성의 절실한 당위성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2020-07-22     경남일보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대상 농가의 평균소득은 전년대비 10% 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을 들여다 보면 모든 연령대의 소득이 높아진 것은 아니다. 40대 이하 소득은 1.3% 줄은 반면, 60대는 4.1%, 70대 이상도 10% 이상 소득이 증가했다.

한국의 청년실업률이 10.5%로 OECD 국가에서 중간에 해당된 알려지고 있지만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월 청년체감실업률은 25.1%를 기록하며 통계발표 이후 최고치 기록을 갱신했다.

경제 10대 강국이자 아시아 5룡의 하나인 우리 나라의 청년들 미래가 암울하고 불투명해졌다. 이같은 암울한 청년 현실의 핵심 문제는 바로 청년 실업에 있다고 한다. 필자는 이에 대한 해답을 미래의 먹거리 산업의 보고인 농업, 즉 청년창업농 육성에서 찾고자 한다.

청년창업농 육성정책은 청년실업률 해소뿐 아니라 농가 경영주의 고령화에도 대응해 농업 인력구조를 개선하고, 젊고 유능한 인재의 농업분야 진출을 촉진위한 사업이 되기도 한다. 대상자는 만 18세 이상 40세 미만의 영농 경력 3년 이하의 농업분야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으로 월 최대 10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최장 3년간 받을 수 있고, 영농기술 교육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농촌 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청년들의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위해 지난해부터 ‘청년농부 2000명 육성 프로젝트’를 수립해 농협과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기관이 같이 추진하고 있다. 청년들에게 토지를 임대해 수익을 공유하는 농업 주주사업, 청년농부 일자리 사업인 월급 받는 청년농부제,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등 다양한 방식이 제시되어 청년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청년창업농들의 영농정착지원사업은 농업·농촌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6차산업화와 ICT 기반 첨단농업을 이끌어 갈 청년농부 육성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청년 창업농 육성이야 말로 이땅의 농업·농촌의 활력을 불어 넣고 소득 불균등 해소의 지름길이자 비상구가 될 것이다. 최근 필자는 2020년 청년창업농 교육을 진행하면서 하나라도 더 배우려는 이 땅 청년들의 절실함을 보았다. 기성세대인 우리 모두가 이들을 후원해야 할 것이다.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