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폐교 해결에 모두가 나서야

2020-10-22     경남일보
폐교되는 학교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들 폐교도 대다수가 방치되고 있다. 장기간 방치로 인해 잡초가 무성하고 건물은 붕괴위험에 처해 있다. 한때 지역사회의 구심체 역할을 했던 학교들이 이제는 지역사회의 흉물로, 천덕꾸러기 신세다. 매각도 안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은 전국이 똑같이 겪고 있다.

경남에서는 지금까지 582개교가 폐교됐다. 폐교된 학교 수를 보면 전남 828개교, 경북 729개교에 이어 3번째로 많다. 폐교 수가 많은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폐교된 이후의 상황이다. 경남에는 매각되지도 않고 그대로 방치돼 있는 폐교가 전국에서 가장 많다. 활용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전국 시·도교육청의 보유폐교 현황에 따르면 경남에는 폐교가 254개교에 이르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다. 대부분 100개교 이하를 보유하고 있는 타 시·도와는 대조다. 다른 시·도에 비해 매각 실적이 매우 저조했던 탓이다. 그리고 경남은 보유하고 있는 폐교 중에서 임대(105개교) 주거나 자체이용(54개교)하는 등 활용방안을 찾은 폐교는 159개교다. 미활용되는 폐교가 95개교에 이르고 있다. 미활용되는 폐교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다른 시·도에 비해 활용 실적도 가장 저조한 것이다. 물론 불리한 접근성 등으로 인해 폐교 매각 및 활용이 여의치 않다는 것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어찌됐던 경남의 폐교 활용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는 것은 당국의 무관심과 역량 부족 탓이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고령화와 농산어촌의 인구 급감 등으로 폐교되는 학교는 지속적으로 생기고 있다. 폐교가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폐교를 교육·사회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소득증대시설 등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늘어나는 폐교를 교육청만의 역량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폐교 활용 방안 찾기에 이제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 지역사회도 적극 나서야 한다. 모두가 나서야 폐교 문제가 해결된다. 폐교 문제는 국가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