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지역대학 소멸이 곧 지역·국가 소멸

2023-01-11     경남일보
지역대학 소멸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현실화되는 속도가 예상했던 것 보다 더 빨라지고 있다.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초·중·고등학교에 이어 대학에까지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지역에서는 일선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의 정원 미충원은 다반사여서 놀랄 일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정원 미달 사태를 넘어 단 한명의 지원자가 없는 학과가 급증했다는 사실은 문제가 다르다. 이는 지역교육의 붕괴를 넘어 지역교육 소멸을 알려주는 경고다. 특히 지원자 ‘0명’이라는 사태는 확대·확산되는 추세다. 지역에서도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원자 ‘0명’은 농어촌지역 중에서도 벽지의 초·중등학교에서나 일어났던 일이다. 그런데 이같은 사태가 대학까지 확대되는 등 지역교육 전반에 걸쳐 발생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경남이 타 시·도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이다.

2023학년도 대학입시 정시모집에서 지원자가 단 한명도 없는 곳은 전국적으로 14개 대학, 26개 학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가 지방 소재 대학(학과)이었다. 학과별로 보면 경북지역 대학이 10개 학과로 가장 많았고, 경남과 전남 각 4곳, 충남·부산·충북 각 2곳, 강원·전북 각 1곳이었다. 경남이 경북 다음으로 심각했다. 게다가 ‘0명’ 학과는 해마다 급격히 늘고 있는 것이 우려스럽다. 2020학년도에 3곳(모두 인문계열), 2021학년도에 5곳(인문 4개·자연 1개)에 불과했는데 2022학년도에는 23곳(인문 14개·자연 9개)으로 급증한 뒤 올해에는 더 늘었다.

‘0명’ 학과는 저출산에 의한 학령인구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학령 인구의 수도권 쏠림 현상도 크게 한몫했다. 교육 자원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지역교육의 붕괴와 소멸을 가속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지원자 ‘0명’ 상황이 더 늘어나는 지역대학은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 지역대학이 소멸하면 지역소멸을 넘어 국가 소멸로 이어진다. 지역·국가 소멸을 막기 위해선 지역대학 교육의 질이 서울보다 더 높아지도록 만드는 정책이 필요하다. 지역대학 스스로 혁신하고, 정부는 지금보다 더 파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