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자주 장을 보시나요? 5인 가족인 우리 집은 제가 미니멀한 삶에 빠지고 나서부터는 장 보기는 집 앞 유기농 협동조합 마트에서 필요한 것만 조금씩 구매를 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가끔 대형마트에 가면 대량으로 사는 것이 싸다는 이유로, 냉동실에 보관하면 두고두고 먹을 수 있다는 이유로 나도 모르게 장바구니 한가득 꾹꾹 눌러 담습니다. 그러다 집에 와, 사 온 것들을 정리하다 보면 왜 이렇게 쓸데없이 많은 물건을 담아왔을까 후회하곤 하지요. 여러분의 삶은 어떠한가요? 오늘 저는 현대인의 필수품인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조차 없는 삶을 살아가는 한 사람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그 사람은 바로 ‘그리고 생활은 계속된다’의 저자 이나가키 에미코인데요. 작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을 겪은 이후, 생각이 복잡해집니다. 사람들이 너무 많은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가 필요해졌고, 본인도 그 일말의 책임이 있지 않느냐는 것이죠. 그리고 ‘개인적 차원의 탈원전 계획’에 돌입하게 됩니다.
작가는 2000엔가량 나오는 전기세를 1000엔으로 줄여보겠다는 목표로 쓰지 않는 전기코드를 뽑고, 욕실의 환기 팬을 돌리는 대신 물기를 닦는 등으로 매일매일 고군분투합니다. 그런데 따뜻해진 날씨 때문에 냉장고가 전기를 더 먹어 버린 건지 다음 달 전기 사용량은 미묘하게 올라가 버립니다. 마른 걸레를 쥐어짠다는 생각으로 노력을 했지만 실패를 맛본 작가. 하지만 작가는 포기하지 않고, 전기 10% 절감을 위해, 50% 절감을 목표로 내세우는 파나소닉의 창업자의 경영철학을 떠올리며, ‘전기는 없다’로 발상 전환을 합니다.
작가는 수족과도 같은 가전제품을 과감히 버리기 시작합니다. 처음은 청소기였는데요. 작가는 청소를 위해 무거운 청소기를 꺼내와서, 코드를 연결하고, 이리저리 부딪히며 힘들게 끌고 다니는 것이 너무 싫었습니다. 그런데 청소기 대신 빗자루와 걸레를 사용해 보니, 신기하게도 청소가 엄청 간편해졌다고 합니다. 필수였다고 생각한 가전을 버린 후 오히려 더욱 간편해진 것을 깨닫고, 전자레인지, 에어컨, 냉장고까지 대부분의 전기제품을 버려보기로 합니다. 전 ‘전기 절약을 위해 이렇게까지 극단적으로 필수 가전들까지 버려야 할까? 생활이 너무 불편하지는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필수라고 여겨왔던 가전제품을 버린 후, 오히려 가사노동 시간이 완전히 줄었다고 하는 작가의 말이 충격이었습니다. 세탁기가 없으니 옷을 덜 사게 되고, 냉장고가 없으니 음식도 필요한 만큼만 사게 되며, 힘들고 귀찮은 것이라 믿었던 빨래, 요리에서 오히려 즐거움을 찾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냉장고를 버리자 사람이 먹고사는데 필요로 하는 것은 극히 적다는 것을 깨닫고, 돈과 관련된 불안과 스트레스까지 사라졌으며, 삶이 더욱 자유로워졌다고 합니다.
전 책 속의 글 중 ‘물건이 많아지면 할 수 있는 일들도 많아지지만, 해야 할 일 또한 많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는 말이 깊이 와닿았습니다. 사실 저도 냉장고를 무한 신뢰하며 싸다고 가득 채워 넣은 것들 때문에, 유통기한이 임박한 음식 위주로 꺼내 먹게 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또 세탁기 용량이 커지니, 옷을 더 많이 사게 되고, 한두 번만 입어도 모두 세탁기로 직행하다 보니 빨래는 항상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었습니다. 작가는 책에서 편리하다고 하는 물건들은 단지 삶의 크기를 키운 것뿐이라고 합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현대인들은 더 많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지만 10년간 가사 노동시간은 전혀 줄지 않았다고 합니다.
작가는 편리한 것들에 둘러싸여 있었던 본인의 삶을 영양을 공급해 주는 튜브에 연결되어 침대에 누워있는 중환자의 삶이었다 비유했습니다. 그리고 생명선이라고 믿었던 것들을 하나씩 뽑다 보니, 침대에서 일어나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편리하다는 이유로 너무 많이 소유하려 하고 그 결과 또 다른 짐을 지고 있지는 않나요? 온갖 편리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버리며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지만, 결국 자유와 행복을 얻어 가는 작가의 삶을 통해 우리의 삶은 어떤지 한 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유수연 시민기자
※이 기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