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막는 필수의료체계 확립 필요
창원특례시는 정부가 2025학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고 비수도권 의과대학에 집중적으로 배정하기로 발표한 가운데, “지역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선 ‘창원 의과대학 신설 역시 반드시 필수의료 정책에 반영돼야 한다”며 지역 거점 의대 신설에 사활을 걸고 있다.
시는 비수도권의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어 이번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도 불구하고 의대 신설 없이는 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의료관계자들 역시 경남 도내 의대가 1곳에 불과해 정원 증원만으론 의료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경남권역 책임의료기관인 경상국립대학교가 서부경남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창원지역 의대 신설을 통해 중·동부경남의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는 이번 정부 발표가 2000명이라는 증원 규모만 밝히고 지역별·대학별 증원과 의대 신설 여부를 확정하지는 않은 만큼 오는 4월께로 예상되는 증원 규모 공개에서 의대 신설 여부도 함께 발표될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창원 의과대학 왜 필요하나= 창원특례시는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의과대학이 없는 유일한 곳으로, 시민들은 의료 인프라에 있어 상대적 박탈감마저 느끼고 있다.
경남도 전체를 놓고 봐서도 마찬가지다. 경남에는 현재 의대가 경상국립대 한 곳만 존재하며, 정원은 76명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인구 10만 명당 의대 정원은 2.3명으로 전국 평균 5.9명을 훨씬 밑돌고 있다. 또 응급의학 전문의는 2.0명으로 전국 평균 4.2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00명당 경남 의사 수는 1.75명 인 것에 반해 전국 평균은 2.22명, 서울은 3.54명으로 경남의 두 배가 넘는다.
특히 의대 정원은 19년째 동결된 반면 가파른 고령화로 의료 수요는 급증하고 있는 상황으로, 경남은 치료가 이뤄졌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사망자가 인구 10만 명당 47.3명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다.
그럼에도 현재 103만 인구의 창원에는 의대뿐만 아니라 치대·한의대·약대 등 의료인 교육기관이 단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의대가 신설되어도 현장에서 일할 의사가 배출되려면 1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창원에 의대 신설은 시급한 상황이다.
◇의과대학 설립에 지역사회 한목소리= 지역에서 의과대학 설립 목소리는 30여 년 전부터 시작됐다. 1992년 창원대에서 정원 40명의 의예과 신설을 신청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산업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시민 서명운동이 전개됐고, 1998년에는 지역 특성화를 내세워 산업의과대학 설립 계획을 마련해 교육부에 요청했다.
2015년에도 정원 50명의 설립 신청서를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창원특례시도 지난 2010년 통합 창원시로 출범하면서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했다. 그러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과 함께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정부 부처에서도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대해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어 지금이 의과대학 설립 적기라고 판단한다. 윤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발표했던 경남지역 10대 공약에는 ‘경남 공공의료망 확충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체계 구축’이 포함됐다. 120대 국정과제에도 ‘필수 의료 기반 강화 및 의료비 부담 완화’가 들어 있다.
현재 지역사회 분위기는 뜨거운 상황이다. 시와 경남도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의회와 시의회에서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고, 정계, 경제계, 종교계, 학부모 등 각계각층에서도 창원 의대 신설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경남도민 101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84.4%가 창원시 의대 신설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무엇보다 70만 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했을 정도로 창원 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지역민들의 요구는 어느 때보다 높다.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노력= 창원특례시의 의과대학 설립 작업은 지난해 초부터 본격화됐다. 1월 말 시청 조직 내에 ‘창원 의과대학 유치기획단(TF)’을 구성하고 세부 추진 전략과 활동 계획 수립에 착수했으며, 3월 13일에는 지역 국회의원과 도·시의원, 경제계, 의료계, 교육계, 시민·사회단체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 의과대학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과 궐기대회가 열렸다.
이어 범시민추진위 출범식 때 시작됐던 ‘100만 시민 100만 서명운동’은 5월부터 속도전에 들어가 상반기에 목표했던 30만 명을 달성했다. 이어 8월부터는 70만 명을 2차 목표로 삼아 참여 대상도 경남도민으로 확대했다. 최근 2차 목표가 달성됨에 따라 시는 오는 3월까지 100만 명을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서명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공론화를 위한 국회토론회도 3월 27일과 11월 1일 두 차례 열었다. 5명의 지역 국회의원과 경남도, 창원특례시가 공동주최한 토론회에는 각계 전문가가 참여해 지역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선 창원에 의대 설립이 절실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10월 19일에 있은 정부의 ‘지역 필수 의료인력 확충’ 발표에 대응해 경남도와 시는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창원특례시에 100명 이상 정원 규모의 의대 신설을 정부에 요구한 상황이다.
◇지역 거점의대 기대와 향후 계획= 창원특례시는 의과대학 신설로 지역 의료수준을 높이고 의료불균형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역인재 유출 방지와 외부 인재 유입, 그리고 신성장 유망산업인 의료·바이오산업 육성 등 창원시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최종 목표인 서명인 수 100만 명이 달성되면 서명지를 청원서와 함께 정부 등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캠페인 전개, 중앙정부·국회 방문 건의, 설립 촉구 및 홍보를 위한 기자회견, 의과대학 설립 기원 행사, 릴레이 1인시위 등을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과 신설 정책이 확정될 때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홍남표 시장은 “경남은 매년 20만 명의 환자가 수도권으로 원정진료를 나서고 있는 실정으로, 창원 의대 신설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창원시민과 경남도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이 걸린 창원 의대 신설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는 곳이 달라서, 인프라가 부족해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해 사망한다면 아무도 그 지역에서 살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 내에서 완결적인 필수의료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지역에서 의료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의대 신설이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은수기자 eunsu@gnnews.co.kr
시는 비수도권의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어 이번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도 불구하고 의대 신설 없이는 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의료관계자들 역시 경남 도내 의대가 1곳에 불과해 정원 증원만으론 의료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경남권역 책임의료기관인 경상국립대학교가 서부경남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창원지역 의대 신설을 통해 중·동부경남의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는 이번 정부 발표가 2000명이라는 증원 규모만 밝히고 지역별·대학별 증원과 의대 신설 여부를 확정하지는 않은 만큼 오는 4월께로 예상되는 증원 규모 공개에서 의대 신설 여부도 함께 발표될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창원 의과대학 왜 필요하나= 창원특례시는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의과대학이 없는 유일한 곳으로, 시민들은 의료 인프라에 있어 상대적 박탈감마저 느끼고 있다.
경남도 전체를 놓고 봐서도 마찬가지다. 경남에는 현재 의대가 경상국립대 한 곳만 존재하며, 정원은 76명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인구 10만 명당 의대 정원은 2.3명으로 전국 평균 5.9명을 훨씬 밑돌고 있다. 또 응급의학 전문의는 2.0명으로 전국 평균 4.2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00명당 경남 의사 수는 1.75명 인 것에 반해 전국 평균은 2.22명, 서울은 3.54명으로 경남의 두 배가 넘는다.
특히 의대 정원은 19년째 동결된 반면 가파른 고령화로 의료 수요는 급증하고 있는 상황으로, 경남은 치료가 이뤄졌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사망자가 인구 10만 명당 47.3명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다.
그럼에도 현재 103만 인구의 창원에는 의대뿐만 아니라 치대·한의대·약대 등 의료인 교육기관이 단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의대가 신설되어도 현장에서 일할 의사가 배출되려면 1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창원에 의대 신설은 시급한 상황이다.
◇의과대학 설립에 지역사회 한목소리= 지역에서 의과대학 설립 목소리는 30여 년 전부터 시작됐다. 1992년 창원대에서 정원 40명의 의예과 신설을 신청했다. 1996년과 1997년에는 산업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시민 서명운동이 전개됐고, 1998년에는 지역 특성화를 내세워 산업의과대학 설립 계획을 마련해 교육부에 요청했다.
2015년에도 정원 50명의 설립 신청서를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창원특례시도 지난 2010년 통합 창원시로 출범하면서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했다. 그러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과 함께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정부 부처에서도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대해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어 지금이 의과대학 설립 적기라고 판단한다. 윤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발표했던 경남지역 10대 공약에는 ‘경남 공공의료망 확충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체계 구축’이 포함됐다. 120대 국정과제에도 ‘필수 의료 기반 강화 및 의료비 부담 완화’가 들어 있다.
현재 지역사회 분위기는 뜨거운 상황이다. 시와 경남도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의회와 시의회에서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고, 정계, 경제계, 종교계, 학부모 등 각계각층에서도 창원 의대 신설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경남도민 101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84.4%가 창원시 의대 신설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무엇보다 70만 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했을 정도로 창원 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지역민들의 요구는 어느 때보다 높다.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노력= 창원특례시의 의과대학 설립 작업은 지난해 초부터 본격화됐다. 1월 말 시청 조직 내에 ‘창원 의과대학 유치기획단(TF)’을 구성하고 세부 추진 전략과 활동 계획 수립에 착수했으며, 3월 13일에는 지역 국회의원과 도·시의원, 경제계, 의료계, 교육계, 시민·사회단체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 의과대학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과 궐기대회가 열렸다.
이어 범시민추진위 출범식 때 시작됐던 ‘100만 시민 100만 서명운동’은 5월부터 속도전에 들어가 상반기에 목표했던 30만 명을 달성했다. 이어 8월부터는 70만 명을 2차 목표로 삼아 참여 대상도 경남도민으로 확대했다. 최근 2차 목표가 달성됨에 따라 시는 오는 3월까지 100만 명을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서명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공론화를 위한 국회토론회도 3월 27일과 11월 1일 두 차례 열었다. 5명의 지역 국회의원과 경남도, 창원특례시가 공동주최한 토론회에는 각계 전문가가 참여해 지역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선 창원에 의대 설립이 절실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10월 19일에 있은 정부의 ‘지역 필수 의료인력 확충’ 발표에 대응해 경남도와 시는 비수도권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창원특례시에 100명 이상 정원 규모의 의대 신설을 정부에 요구한 상황이다.
◇지역 거점의대 기대와 향후 계획= 창원특례시는 의과대학 신설로 지역 의료수준을 높이고 의료불균형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역인재 유출 방지와 외부 인재 유입, 그리고 신성장 유망산업인 의료·바이오산업 육성 등 창원시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최종 목표인 서명인 수 100만 명이 달성되면 서명지를 청원서와 함께 정부 등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캠페인 전개, 중앙정부·국회 방문 건의, 설립 촉구 및 홍보를 위한 기자회견, 의과대학 설립 기원 행사, 릴레이 1인시위 등을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과 신설 정책이 확정될 때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홍남표 시장은 “경남은 매년 20만 명의 환자가 수도권으로 원정진료를 나서고 있는 실정으로, 창원 의대 신설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창원시민과 경남도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이 걸린 창원 의대 신설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는 곳이 달라서, 인프라가 부족해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해 사망한다면 아무도 그 지역에서 살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 내에서 완결적인 필수의료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지역에서 의료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의대 신설이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은수기자 eunsu@gnnews.co.kr
저작권자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