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이하 기획단)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각 지역구에 청년 후보 1명을 반드시 공천하는 의무조항을 신설해 지도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기획단 대변인 조지연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청년 인재를 대폭 영입하기 위해 각 당협별로 여성 한 분, 청년 한 분을 무조건 공천하는 의무규정을 건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당헌당규 개정사항에 현재 여성만 의무공천을 하게 돼 있는데, 청년도 공천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이 추후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난번 17개 시·도 광역의원 비례대표를 중앙당 오디션으로 당선권에 배치하기로 한 것도 기득권을 내려놓는 취지였는데, 그 연장선에서 청년 공천 의무화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기획단은 당 소속 현역 시장·군수·구청장과 연석회의를 열고 내년 지방선거 전략과 공천 원칙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일부 당 소속 시장·군수·구청장들이 경선 룰의 당심 반영 비율을 70%로 올린 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지적에 대해 “민심을 더 반영해야 한다는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조 의원은 “이번 지방선거는 민심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것과 동시에 당의 뿌리를 튼튼히 하는 것도 최대 과제”라며 “현장 중심의 인재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력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라도 당원 비율을 일정 부분 상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건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의원은 “기획단의 7대3(당심 70·민심 30)비율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다”며 “어려운 선거과정에서 당세 확장 노력을 병행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늘 그 룰을 두고 논의한 것이 아니라 지역 정책을 할 때 최대한 국민과 시민들께서 많이 수긍할 수 있는 수용성 높은 정책을 개발해달라는 취지의 제언들이 나왔다”고 했다.
또 조 의원은 ‘기획단 위원장인 나경원 의원이 서울시장 출마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어떠한 개인을 두고 룰을 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이와 더불어 ‘7대3 경선 룰이 기획단 특정 인사에 유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여론)을 많이 반영하는 것도 맹점이 있다. 인지도 높은 후보가 일반 여론이 높았을 경우 높게 나오는 게 그간 선거 결과들”이라며 “당 기여도에 대한 강화, 당원 비율 강화가 궁극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들도 병행해야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용구기자
기획단 대변인 조지연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청년 인재를 대폭 영입하기 위해 각 당협별로 여성 한 분, 청년 한 분을 무조건 공천하는 의무규정을 건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당헌당규 개정사항에 현재 여성만 의무공천을 하게 돼 있는데, 청년도 공천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이 추후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난번 17개 시·도 광역의원 비례대표를 중앙당 오디션으로 당선권에 배치하기로 한 것도 기득권을 내려놓는 취지였는데, 그 연장선에서 청년 공천 의무화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기획단은 당 소속 현역 시장·군수·구청장과 연석회의를 열고 내년 지방선거 전략과 공천 원칙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일부 당 소속 시장·군수·구청장들이 경선 룰의 당심 반영 비율을 70%로 올린 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지적에 대해 “민심을 더 반영해야 한다는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조 의원은 “이번 지방선거는 민심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것과 동시에 당의 뿌리를 튼튼히 하는 것도 최대 과제”라며 “현장 중심의 인재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력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라도 당원 비율을 일정 부분 상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건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의원은 “기획단의 7대3(당심 70·민심 30)비율에 대한 입장은 명확하다”며 “어려운 선거과정에서 당세 확장 노력을 병행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늘 그 룰을 두고 논의한 것이 아니라 지역 정책을 할 때 최대한 국민과 시민들께서 많이 수긍할 수 있는 수용성 높은 정책을 개발해달라는 취지의 제언들이 나왔다”고 했다.
또 조 의원은 ‘기획단 위원장인 나경원 의원이 서울시장 출마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당심 반영 비율을 높이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어떠한 개인을 두고 룰을 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이와 더불어 ‘7대3 경선 룰이 기획단 특정 인사에 유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여론)을 많이 반영하는 것도 맹점이 있다. 인지도 높은 후보가 일반 여론이 높았을 경우 높게 나오는 게 그간 선거 결과들”이라며 “당 기여도에 대한 강화, 당원 비율 강화가 궁극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노력들도 병행해야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용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