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비자발적 이직자 ‘역대 최다’
청년 비자발적 이직자 ‘역대 최다’
  • 연합뉴스
  • 승인 2017.07.23 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7만2000명…경기 부진·고용 한파 탓
직장이 폐업하거나 임시로 맡던 일이 끝나 자기 뜻과 상관없이 이직하는 청년이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바늘구멍 같은 취업 문을 통과한 청년에게도 현실은 녹록지 않은 셈이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임시적·계절적인 일이 끝나거나 계약 기간이 완료된 경우와, 직장 휴·폐업·파산 등으로 첫 일자리를 그만둔 청년(15∼29세)은 37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4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많은 것이다.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는 2012년 27만8000명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2016년 33만4000명으로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 데 이어 2년 연속 최고치를 새로 썼다. 반면 전체 청년 이직자는 줄어들고 있다. 첫 직장을 떠난 청년은 2004년 355만9000명에서 2009년 292만1000명, 올해 257만4000명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 같은 변화는 이 연령대 인구가 2004년 1014만1000명에서 지난해 942만8000명으로 감소한 탓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학업, 취업 준비로 취업을 미루며 취업을 경험한 청년들 자체도 줄어들고 있는 영향까지 겹쳤다. 청년 이직자는 주는데 비자발적 이직자는 늘다 보니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비율은 올해 14.5%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 비율은 2006년 8.4%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점차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09년 10.9%로 처음으로 두 자릿수에 진입한 뒤 2013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거리가 없거나 회사 사정이 어려워 권고사직을 당하는 경우 등이 비자발적 이직으로 볼 수 있다”며 “비자발적 이직자 발생은 주로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설명했다. 경기가 어려워져 기업 활동이 부진해지면 정리해고를 하거나 계약직으로만 직원을 채용하기 때문에 기존 직원들이 이직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특히 청년 이직자의 경우 실업 상태를 피하려고 일단 계약직으로 들어갔다가 계약이 끝나며 이직하거나 최근 들어 기업들이 정규직 대신 계약직 인턴 형태로 신입 직원을 고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자발적 이직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임시적·계절적인 일이 끝나거나 계약 기간이 완료해 이직했다는 청년은 31만1000명으로, 1년 전(26만4000명)보다 17.8% 증가했다. 2004년(18만8000명)과 견주면 1.7배나 늘어난 셈이다. 반면 직장 휴·폐업, 파산에 따른 청년 이직자는 6만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9% 감소했다. 2004년(13만9000명)보다 올해 오히려 반 토막으로 줄었다.

연합뉴스

[표] 첫 일자리를 비자발적 사유로 그만둔 청년(15∼29세) (단위 : 천명)

 
연도
 
 청년
이직자
(A)
 비자발적
청년 이직자
(B)
 비자발적 이직자
비율
(B/A)
2004년
 
 3,559
 
 327
 
 9.2%
 
2005년
 
 3,424
 
 310
 
 9.1%
 
2006년
 
 3,083
 
 259
 
 8.4%
 
2007년
 
 3,139
 
 304
 
 9.7%
 
2008년
 
 3,052
 
 293
 
 9.6%
 
2009년
 
 2,921
 
 319
 
 10.9%
 
2010년
 
 2,923
 
 330
 
 11.3%
 
2011년
 
 2,723
 
 311
 
 11.4%
 
2012년
 
 2,682
 
 278
 
 10.4%
 
2013년
 
 2,460
 
 282
 
 11.5%
 
2014년
 
 2,397
 
 285
 
 11.9%
 
2015년
 
 2,493
 
 327
 
 13.1%
 
2016년
 
 2,464
 
 334
 
 13.6%
 
2017년
 
 2,574
 
 372
 
 14.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