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속의 통계가 주는 청년일자리의 진실
통계 속의 통계가 주는 청년일자리의 진실
  • 경남일보
  • 승인 2013.08.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순 (경남발전연구원 경남경제통계센터장)
최근 청년 취업자 비중이 사상 최저로 30년 전과 비교해 절반 수준인 15%대로 감소한 것을 이유로 청년층(15~29세)의 고용환경 악화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의 감소는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분명 염려가 되긴 하지만, 고학력화된 청년층이 찾는 일자리의 악화와 일자리에 대한 눈높이가 다르고, 이에 반해 양질의 일자리 공급부족으로 인한 취업포기 등과 같은 단순한 불일치(수급상의 미스매치)를 원인으로 치부하기엔 어딘가 꺼림칙하다. 30년 전과 현재를 통계수치 그대로 해석하다 보면 수치 뒤에 감춰진 의미는 숨겨진 채 정보가 잘못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남지역 청년층을 대상으로 고용추이와 출산율을 국가통계포털 자료를 통해 살펴보자.

경제활동 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고, 고용률이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도내 청년층 고용상태를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섯 살 묶음으로 나눠 보면 경제활동 참가율의 경우 15~19세는 2000년 9.8%에서 2012년 5.6%로, 20~24세는 57.4%에서 45.7%로 각각 감소했는데, 25~29세는 68.3%에서 71.2%로 오히려 증가했다. 15~19세의 감소는 중등학교 진학률이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인구감소가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20~24세의 감소는 인구감소와 함께 대학진학률을 꼽을 수 있는데 특히 2000년 73.0%에서 2012년 82.0%로 증가함으로써 이 계층의 상당수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반면에 25~29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오히려 증가한 것은 대학졸업 후 적극적인 취업활동을 했음을 뜻한다.

한편 도내 청년층 고용률 추이를 보면 15~19세는 2000년 8.9%에서 2012년 5.5%로, 20~24세는 53.4%에서 42.7%로 각각 낮아졌으며, 25~29세는 65.4%에서 67.0%로 다소 증가해 경제활동 참가율과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도내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4.6%에서 2012년 38.7%로 감소했고, 고용률은 42.0%에서 36.4%로 감소함으로써 둘 다 지난 12년 동안 감소폭이 약 6%p로 비슷하며, 연도별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차이도 2%p로 일정하게 유지됐다.

청년층 중 25~29세의 고용률 증가폭이 경제활동 참가율의 그것보다 높지 않은 것은 분명 문제이지만, 그 이유를 청년층 일자리 악화에 따른 취업포기라고 단정하기에는 억지스러움이 있다. 이유는 다음 두 가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청년층 취업자 수의 감소는 청년층 인구감소에 일정 기인한다. 경남의 연령별 인구변화를 보면 15~29세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2000년 23만5000명에서 2012년 21만6000명으로 약 2만명이 감소했다. 특히 20~24세는 2004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출생 시점이 80년대 초반이다. 그 시기의 출산정책 슬로건은 ‘하나씩만 낳아도 삼천리는 초만원’, ‘둘 낳기는 옛말, 일등국민 하나 낳기’ 등이었다. 또한 합계출산율은 줄곧 2명 이상이다가 84년에 처음으로 1.76명으로 떨어져 지금은 1.20명 수준이다. 결국 80년대 출산정책의 여파가 30년 후 지금의 청년층 취업자 수 감소를 가져왔다는 말이다.

둘째,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자 수의 비중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00년 이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중은 2009년에 92.9%로 최저였지만 2000년에 최대인 94.2%에서 지난해에도 94.0% 수준이다.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중이 일정하게 유지됐다는 것은 도내 청년층 중 대졸자 비중이 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대졸자의 일자리 수요를 어느 정도 충족시켰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경남도는 현재 일자리 창출을 도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고 무엇보다 청년층 일자리 확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청년 일자리정책의 효과는 정책 자체와 함께 출산율, 진학률 등과 맞물려서 중·장기에 걸쳐 나타난다. 일시적인 통계수치를 보고 ‘도내 청년 취업자 비중 최악’과 같은 해석을 하기보다는 여러 변수를 고려해 오해의 소지를 불식시키는 것도 일자리 만들기처럼 중요하다 하겠다.

김영순 (경남발전연구원 경남경제통계센터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