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전기자동차 혁명이다 <1>
이제는 전기자동차 혁명이다 <1>
  • 이은수/박성민
  • 승인 2014.08.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연·소음 없는 그린에너지가 달린다
h140718_18전기차자료사진
전기차(자료사진) 황선필기자
환경과 에너지를 고려한 이동수단의 대세는 전기자동차다. 그래서 취재팀은 일주일 동안 직접 전기차를 타고 출퇴근해 봤다. 또 취재 등 일상적인 업무를 보며 장단점을 먼저 분석했다. 이어 우리나라 전기자동차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전기자동차엑스포 현장 등 선도도시를 둘러봤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섬 전역에 전기차만 달리도록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하며 관심을 끌었다. 전기차는 기존 연료와 본질적으로 다른 ‘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혁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보는 전기자동차 시범도시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기자동차의 보급실태 및 과제, 그리고 전망에 대해 살펴보기로 했다./편집자 주



◇친환경 바람타고 전기자동차 시대 도래

독일의 BMW 등 세계의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전기차 열풍이 불고 있다. 전기차 바람을 몰고온 미국 테슬라(Tesla)의 주가는 무려 1000배 이상 뛰었다.

한국의 자동차는 한발 늦은 감이 있지만, 기아자동차 ‘레이’에 이어 ‘쏘울EV’, 르노삼성의 ‘SM3’, 그리고 쉐보레의 ‘스파크EV’가 본격 출시됐다. 또한 카이스트에서 개발한 전기버스도 해외 언론에 보도되며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 환경부는 창원을 비롯한 전기자동차(EV) 선도도시 10개 도시를 선정하며 민간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동안 자동차의 발달은 가솔린을 연료로 한 자동차 외에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 자동차,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가스차 등 다양한 형태의 엔진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하지만 전기차의 경우는 기존 연료와 본질적으로 다른 ‘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혁명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엔진에서 나오는 매연도 없고 소음도 거의 나지 않아 승차감이 좋다. 화석 연료를 사용할 때와 달리 이산화탄소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내뿜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전기차는 심야에 집에서 충전을 하면 별도의 전력생산 없이 유휴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으로 꼽힌다. 그래서 몇 년 전부터 각국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 개발에 사운을 걸고 총력을 쏟아붓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전기차 전용 모델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유럽 등지에서는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전기차의 탄생에 맞춰 전용 충전소들도 속속 들어서고 있다.



◇전기차는 메가트렌드…정부의 전폭적 지원으로 보급 확대

주요 국가별 전기차 보급현황(2012년 말 기준)을 보면 미국이 8만1800대, 일본 4만4700대, 이탈리아 1만8200대, 중국 1만1600대, 독일이 1만300대를 보급하여 운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까지 서울 630대, 제주 345대 등 전국에 1871대를 보급했다. 올해는 제주 500대, 서울 200대, 창원 100대 등 전국에 1100여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의 경제성을 분석해 보면 가솔린 차량이 연비 13.5Km/L로 연간 1만5000Km를 운행했을 경우, 연간 에너지 비용이 222만원이 소요되는 반면 전기자동차는 10km운행시 216원이 소요되어 연간 32만원이면 가능하다. CO2배출량을 보면 가솔린 차량은 137g/Km인 반면 전기차는 CO2 배출량이 0으로 청정에너지다. 전문가들은 메가트렌드로 불리며 전기자동차가 뜨는 이유를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미래 시장변화 대응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이미 각 나라의 정책기조에 따라 교통부분에서 친환경·고효율 차량 중심으로 판도가 바뀌고 있다.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도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프로그램의 확대 등 변화가 이미 시작됐다. 우리나라도 자동차 시장변화에 대응하여 국내 전기자동차의 확대를 위한 환경조성과 경쟁력을 제고할 시점에 왔다.

각 나라별로는 차량구매 보조금과 자동차세 감면 및 면제, 소득공제 혜택, 주차료 면제, 다인승 전용차로 허용 등 각종 지원정책으로 전기차의 확대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S춰 올해 환경부에서는 환경부 지원보조금을 포함하여 전기자동차 한 대당 2000만원의 구입보조금을 지원하고 취득세, 개별소비세 등의 감면을 통해 전기자동차 보급을 확대하고 나섰다.



◇전기자동차 시범도시 주목

전기자동차는 지난해부터 민간에 보급되고 있는데,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앞장서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주도는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 Jeju by 2013)’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제주 전기자동차 시범도시 세부추진 계획을 수립하면서 1단계로 2017년까지 운행 자동차의 10%, 2단계 2020년까지 20%, 최종 2030년까지 100% 전기자동차로 대체할 계획이다.

경남 유일의 전기차(EV) 선도도시로 선정된 창원시는 2011년 11월 환경부의 전기차 선도도시 선정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전기자동차를 보급한 결과, 민간보급 72대를 포함하여 기초자치단체 최대 규모인 150여대의 전기자동차를 운영하고 있다. 연말까지 58대를 추가로 민간에 보급하면 전기자동차 보급대수는 200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창원시는 또한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창원시 전기자동차 이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조례’도 제정해 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그동안 전기자동차 보급사업은 정부의 각종 지원혜택을 바탕으로 추진됐으나 시는 앞으로 정부의 지원과는 별개로 창원시 자체의 독자적인 보급지원 및 전기자동차 이용시민의 편의제공 등을 위한 각종 지원시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시민 만족도도 비교적 높다.

안상수 시장은 전기자동차가 새로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자동차 연구특화단지 조성계획을 밝혔다. 전기연구원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 핵심부품 분야의 개발단지로 특성화하여 배터리 등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우수 기술부품의 표준화도 지원하여 창원시가 전기자동차 산업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산·학·연·관이 집적된 세계적 전기자동차 연구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전기자동차 분야의 기업체와 국책기관 연구소 등 유치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대여차량 시스템의 일종인 카셰어링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그린카는 현재 전국 33개 도시 720개 거점에서 1200대 이상의 차량으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술혁신과 대중화에 성패 달렸다

전기자동차가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멀다.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승용차의 경우 4000만∼4500만원으로 가격이 높은 데다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가 130km 내외, 일반충전기의 충전시간이 5∼6시간 소요되며 급속충전기의 경우 30분이면 충전이 완료되지만 대당 3000만∼4000만원으로 가격이 비싸 설치가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앞으로 충전설비 확보를 위해서는 공공 충전인프라 이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공동주택, 직장, 고속도로 등의 공동이용 설비의 확충이 시급하다.

또한 선택차종이 제한적이고 소비자의 관련지식과 정보가 부족하며 다양한 차종과 기술적 성능 향상, 인프라구축 등이 당면과제다. 그럼에도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이 친환경·고효율 차량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남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미국의 테슬라가 전기자동차 기술노하우를 공개하고, 소비자를 위해 무료충전소를 보급하는 등 2년 안에 전기자동차 상용화에 필요한 모든 기반시설을 갖출 것이라고 발표한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미국 시장이 선도하면 전 세계 다른 시장들도 빠른 속도로 변화할 것이다. 고객들은 적어도 5년 정도의 보유기간을 고려해서 구매할 자동차를 결정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이야기하는 전기자동차 상용화 시기는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빨리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글=이은수·박성민기자 eunsu@gnnews.co.kr·사진=황선필기자feel@gnnews.co.kr

 
 
※이 취재는 경남지역신문발전위원회 후원으로 마련 되었습니다.
 
h140718_18전기차자료사진
황선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