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카다 다카시 ‘나만 바라봐’ 번역 출간
오카다 다카시 ‘나만 바라봐’ 번역 출간
  • 연합뉴스
  • 승인 2018.12.09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목받지 않으면 못견디는 현대병 ‘경계성 인간’
감정 기복이 심하다. 속마음과는 정반대로 행동하곤 한다. 마음속에 공허감을 품고 있다. 주목받지 못하면 따돌림당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별 것 아닌 일에도 과잉반응을 한다. 분노를 조절하지 못한다. 심한 경우 자살 시도나 자해를 한다.

경계성 인간(경계성 인격 장애자)으로 불리는 사람들 특징이다. 타인에게 관심받고, 사랑받고, 인정받으려 하는 건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게 심하면 병적 상태가 된다. 관심을 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지나치게 높은 관심병이 바로 그렇다. 경계성 인간은 그 질병에 사로잡힌 희생자들이다.

근래 들어선 ‘관종짓’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해 활개친다. 타인의 관심을 끌려 노력하는 사람들, 즉 ‘관심 종자’들이 하는 행동을 말한단다. 카카오톡 프사(프로필 사진)에 셀카를 부지런히 올린다. 여행, 쇼핑, 일, 인간관계 등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시시각각 SNS에 내보인다. 더욱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자신은 누군가에게 끊임없이 관심받고 싶으면서도 다른 누군가가 관심받기 위해 스스로 노출해대면 ‘관종짓’이라며 비난하기 바쁘다는 점이다.

일본의 정신의학자 오카다 다카시(岡田 尊司) 씨는 타인에게 사랑받지 못하면 견디지 못하는 ‘경계성 인간’의 심리와 인간관계를 심층 분석한 ‘경계성 인격 장애’를 펴내 주목받았다. 지난 10여 년 동안 일본에서 스테디셀러 자리를 지킨 이 심리분석서가 ‘나만 바라봐’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번역·출간됐다. 근래 들어 급속히 늘어나는 인간 유형, 즉 경계성 인간의 정체와 특징, 현상과 대처법 등을 전문가적 관점에서 기술했다.

‘경계성(境界性)’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때는 1938년이었다. 미국 정신 분석가인 아돌프 스턴(1879~1958)은 신경증과 정신병 경계선이라는 의미로 이 말을 사용했다. ‘경계성 인간’은 이를테면 ‘보더라인 그룹(border line group)’으로, 자기애(自己愛)에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경계성 인간의 최대 특징은 버림받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강하고, 대인관계가 극단적이고 불안정하며, 정신없을 정도로 빠르게 감정이 바뀐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분노 조절이나 감정 조절에 미숙하며, 마음에 끊임없이 공허감을 품고 있고, 자기가 누구인지 명확한 정체성 인식이 없다. 그러다 보니 자신과 타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자신의 시점과 타자의 시점을 혼동하기 쉽다.

저자는 근래 들어 심한 양가감정의 경계성 인간이 급증하는 이유로 극히 어린 시기에 부모로부터 분리되거나, 안정이 위협받기 쉬운 시대적·사회적 배경을 꼽는다. 핵가족화와 저출산, 지역사회 붕괴에 의한 가정의 세분화와 밀실화 여파로 애착형성이 어려워지면서 자기애성 인간 유형과 비공감성 인간이 늘어났다는 얘기다.

경계성 인간의 대처요령으로는 변함없는 페이스로 변함없는 거리를 유지하며 꾸준히 관심을 기울이고, 가르치려 하기보다 중립적 태도로 공감하는 게 먼저라고 조언한다.

연합뉴스



 
신간 ‘나만 바라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