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길의 경제이야기]아시아개발은행과 기후 기술 허브
[김흥길의 경제이야기]아시아개발은행과 기후 기술 허브
  • 경남일보
  • 승인 2023.05.09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시아개발은행(ADB-Asian Development Bank)은 1966년 12월 19일에 설립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개발 은행으로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의 만달루용(Mandaluyong)에 본사를 두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42개의 현장 사무소와 워싱턴, 프랑크푸르트, 도쿄 및 시드니에 대표 사무소를 두고 있다. 이 은행은 68개 회원국 가운데 60개국을 대표하는 약 3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설립 당시 31개 회원국이었던 ADB는 현재 68개 회원국이 가입해 있다. 2020년 12월 31일 현재 일본과 미국이 각각 15.571%로 가장 큰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중국이 6.429%, 인도가 6.317%, 호주는 5.773%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5.026%로 8위에 속한다. 은행의 최고 정책 결정 기관은 각 회원국 대표 1명으로 구성된 이사회이다. 이사회는 이사 12명과 그 대리인을 선출하는데, 12명의 회원 중 8명은 지역(아시아 태평양) 회원이고 나머지는 비 지역 회원이다.

ADB는 포괄적인 경제 성장,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및 지역 통합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빈곤 감소에 전념하는 사회 개발 조직임을 자임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지향성은 인프라, 의료 서비스, 금융 및 공공 행정 시스템에 대한 대출, 보조금 및 정보 공유 형태의 투자를 통해 수행돼 국가가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비하거나 천연자원을 더 잘 유지관리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설립 초기, ADB는 식량 생산과 농촌개발에 많은 지원을 집중했다. 당시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었다. 초기 차관은 주로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한국, 필리핀으로 지원됐다. 이들 국가는 1967년에서 1972년 사이 총 ADB 차관의 78.48%를 차지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 ADB는 메콩 강변 국가들의 무역과 협력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협력을 촉진하기 시작했다. 또한 10년 동안 냉전 종식 후 여러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가입되면서 ADB의 회원국이 확대됐다. 1997년 중반에 ADB는 금융 부문을 강화하고 빈곤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이 지역을 강타한 금융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 금융 위기 기간에 ADB는 한국에 대한 최대 규모의 단일 대출인 40억 달러의 긴급 대출을 승인했었다. 1999년 ADB는 빈곤 감소를 최우선 목표로 채택했었다.

지난 5월 2일부터 5일까지 제56차 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ADB2023)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진행됐다. ADB 회원국의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국제기구 관계자와 민간 부문, 시민단체, 언론 관계자 등 약 5000명이 참석하는 이번 총회는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간의 상호이해와 경제 협력이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이번 총회에서 특별히 주목할 것은 ADB와 한국이 기후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ADB-한국 기술 허브(K-Hub) 설립에 합의하는 양해각서에 서명했다는 점이다. K-Hub는 한국 정부와 ADB가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후 기술 Hub로, ADB와 한국 정부가 공동으로 인력을 파견해 운영할 예정이다. ADB는 기후 관련 사업을 향후 1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하는 등 기후 분야에 집중해 기후선도자(Climate Bank)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있다. ADB는 한국의 우수한 기후 기술 및 한국에 소재하고 있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후 기금(GCF) 등 기후 관련기관과의 시너지효과를 고려할 때 한국이 기후허브 소재지로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K-Hub를 통해 국제 사회의 책임감 있는 일원으로서 기후 이슈 어젠다를 주도하는 한편, ADB와의 협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을 예정이다. 이번 총회에서는 K-Hub 설립 외에도 한국의 ICT 전문 지식을 활용하는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아시아 태평양 개발도상국 간의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협정과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인프라 개발을 강화하는 협정에도 서명했다. 경상국립대 명예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