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칼럼]한국국제대 폐교, 이제는 수습과 정리다
[의정칼럼]한국국제대 폐교, 이제는 수습과 정리다
  • 경남일보
  • 승인 2023.09.12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재욱 경남도의원
 


급작스러웠지만 그렇다고 전혀 예측하지 못한 사건도 아니었던 것이 바로 한국국제대 폐교 사태가 아닌가 한다. 마치 중병에 걸린 환자가 오늘내일하다가 용태 변화로 갑작스레 사망한 것과 같다고 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한국국제대는 경해(耕海) 강명찬 박사가 1978년 진주 하대동에서 진주여자실전문학교로 출발해 진주여자전문대, 진주실업전문대, 진주전문대로 교명을 바꾸며 전문대학으로서의 입지를 구축했고 2003년에는 4년제 진주(한국)국제대로 승격하며 교육도시 진주의 4대 대학(경상국립대·진주교대·경남과기대·한국국제대)의 역할을 다해 왔다.

하지만 학령인구 감소가 예측되는 상황에서 대학의 내실을 다지기보다는 무리한 외형 확장에 몰두한 결과 대학 경쟁력이 약화되기 시작했으며, 설상가상으로 초대 설립자의 뒤를 이은 2세 이사장이 학교 경영보다 대외활동에 치중하며 수차례에 걸쳐 사법처리가 되면서 지역의 신뢰를 잃어갔다. 물론 그 과정에서 학교를 다시 바로 세우기 위해 학교 구성원, 지역사회 등에서 많은 노력들이 있었지만, 결국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 채 교육부의 재정 제한 대학으로 지정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됐다.

한국국제대는 이렇게 역사 속 대학이 되었다. 이제 어떻게 하면 폐교로 인한 충격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지역사회가 이 사태 해결의 수습과 정리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 나가야 하는가의 과제가 놓이게 되었다. 먼저 학생들의 피해 최소화 문제다. 휴학생을 포함한 재학생들은 학업을 이어갈 학교가 사라졌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일치 내지 유사학과가 있는 다른 대학으로의 편입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한국국제대의 재학생과 휴학생은 약 700여명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들 중 다른 대학으로 특별편입학을 신청해 확정된 인원이 약 370명 규모다.

이렇게 편입대학이 확정됐더라도 학생들이 기존의 진주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거주비의 증가 문제 그리고 다른 대학의 학사과정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각 학생 개인이 각자도생식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 등이 우려된다. 실제로 지난달 말 필자가 주관해 개최한 한국국제대 폐교사태에 따른 특별편입학 학생 현장 간담회에서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직접 주장하기도 했었다.

특히 한 학생의 경우 폐교 문제가 장기화돼 누가 보더라도 폐교가 곧 현실화될 수 있는 시점임에도 경남도와 진주시 등의 행정기관에서는 구체적인 지원책의 제시 없이 그저 기다려달라는 말만 반복적으로 한다며 분통을 터트리기도 했었다. 이에 지역을 대표하는 도의원의 한 사람으로 매우 부끄럽고 안타깝게 느끼면서 학생들에게 특별장학금이나 거주비 등이 조속히 지원될 수 있게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막대한 재원이 투입된 대학 캠퍼스의 활용방안 문제이다. 기존 사학재단에서 관리하던 캠퍼스가 현재는 교육부 산하 한국사학진흥재단으로 귀속된 상태다. 캠퍼스의 경우 비록 종전에 사학재단 소유였지만 다른 사립대학과 마찬가지로 국고가 투입돼 처음부터 공공재적 성격을 가진데다가, 캠퍼스 자체가 교육시설이기 때문에 설사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 공매를 추진한다고 하더라도 민간의 수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거래금액의 과다로 민간이 이를 소화해 낼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그렇다고 그대로 방치하는 것 역시 사회경제적으로나 지역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끼칠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미 경남도의회에서도 사안의 시급성을 인지하고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으니 조만간 좋은 정책이 나오리라 생각된다. 이제는 폐교의 아픔을 수습하고 지역의 발전을 위해 힘을 모을 때다. 도민 여러분의 작은 관심과 성원이 이 사태 해결의 열쇠라 생각하며 글을 맺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