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일춘추]1890년 함안군수 오횡묵이 기록한 진주교방 꽃상
[경일춘추]1890년 함안군수 오횡묵이 기록한 진주교방 꽃상
  • 경남일보
  • 승인 2022.02.16 1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미영 (한국음식문화재단 이사장, 이학박사)
 

 

함안 어속치(漁束峙)는 높고 험해 눈이 오면 얼음고개가 됐다. 가마꾼들은 비틀거리기가 일쑤였고 많은 이들이 미끄러져 해를 입지 않기위해 손발로 엉금엉금 기어 넘었다.

1890년 1월, 진주목 함안 군수 오횡묵(吳宖默)은 어속치를 넘어 진주성에 도착했다. 경상우병영은 14개 속현의 군사체계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군력이 막강했다. 설날이면 속현의 수령들은 나이를 불문하고 젊은 병마절도사에게 세배 드리고 문안했다.

진주성 병영에서는 큰 저녁 상이 차려졌지만, 박규희(1840~?) 병마절도사는 오히려 민망해 한다.

“주방에 명하여 찬을 더 내오도록 하겠습니다.” 빈객은 극구 사양한다. 상다리가 부러지게 차린 밥상을 앞에 두고도 “차린 것이 변변치 않다”고 한 것은 유교의 예절탓이다.

진주 꽃상을 받은 오 군수는 소회를 적었다. ‘머나먼 타향 음식 짜고 시어 입에 안 맞아(鹹酸不適客天涯)닭 돼지 술 면을 잇달아 내고(鷄猪酒隨逢着)생선 과일 소금 차들이 성대히 나오더라도(魚果鹽茶半爽差)몇 번이고 서울 음식 그리워했네(幾度洛陽思飮水)산사를 다니다 찐 모래 밥 비웃을 때 참으로 많았건만(多從山寺笑蒸沙)이번 행차 좋은 끼니 신선의 주방에서 내어준 것 같네(今行好頓仙廚供)입 안 가득 향내는 꽃을 씹는 것보다 더 나아라(香頰津津勝嚼花)’

이웃 고을 수령이 꽃에 비유한 교방음식은 맵고 짜지 않은 서울풍이 가미됐다.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의 입맛에 맞춘 것이다. 여기에는 진주기생들의 솜씨도 한몫했다. 오횡묵의 일기에는 기생들의 이름이 등장한다. ‘영문(진주성 병마절도영)에서 저녁식사를 성대히 장만했고 송절과 월매가 석반을 차렸다’고 쓴 내용이다.

1889년 5월 29일 ‘진주방문기’에는 아침 점심 저녁 모두 송절과 월매의 처소에서 산해진미를 마련해 왔다는 사실도 기록돼 있다. 오 군수는 진주 교방 ‘백화원’에서 춤 연습을 하는 어린 기생들이 안쓰러워 돈 10냥을 주기도 했다.

조선시대는 땔감이 귀했다. 한양에서는 땔감을 구하지 못 한 백성들이 몰래 왕릉의 나무를 도벌하다 처형되기도 했다. 반면 19세기 말부터 1942년까지에 진주의 나무전은 명물거리였다. 인근 산골에서 밤새 걸어 새벽에 나무를 팔아 생필품을 교환했다. 산해진미의 교방음식이 탕 찜 구이 등 다양한 형태로 발달할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는 풍족한 땔감 덕분이었다. 진주 교방음식이 차별화되는 또 한 가지 이유다.


박미영 한국음식문화재단 이사장, 이학박사

진주교방꽃상
진주교방꽃상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