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농업인 경영안정 ‘팔걷어’
경남도, 농업인 경영안정 ‘팔걷어’
  • 임명진
  • 승인 2023.02.15 17: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사용 전기요금 시설원예 난방유류비 등 지원
572억원 긴급 투입… 한우값 안정 방안도 추진
경남도는 최근 유가와 전기요금 인상 등 대내외 농정변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572억원을 긴급 투입한다고 15일 밝혔다..

먼저 최근 세 차례에 걸쳐 전기요금이 대폭 인상됨에 따라 농업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1~3월분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의 50%를 시·군과 협력해 지원할 계획이다. 전기요금은 후불제로 6월까지 도내 20여만 농가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소요사업비는 93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시설원예농가의 경우 2022년 10~12월분 난방유류의 평균가격과 기준가격 차액의 50%를 지원한다. 전액 국비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28억 50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무기질비료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269억원을 투입해 최근 가격급등에 따른 가격상승분의 80%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농업경영체 등록농지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으로 농가별 지원물량은 최근 3년간 구입한 무기질비료 평균 구매량의 95% 이내로 지원할 계획이다.

농업경영체에 등록한 농업인은 별도의 신청 없이 지역농업협동조합, 지역축산업협동조합, 품목농업협동조합을 통해 2023년 12월 10일까지 무기질비료 가격상승분의 80%를 사전 차감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덧붙여 유기질비료는 266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꿀벌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봉농가에 대해서는 사육기반 회복과 안정을 위해 긴급 예산 100억원을 투입한다.

꿀벌 사육 안정을 위해 번식용 꿀벌 4만 군(통)을 지원하고 현재 정상꿀벌 10만 5000 군(통)을 2배로 증식해 총 29만 군(통)으로 회복해 평시 사육군수의 83%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사업규모는 100억원이며 도비 15억원과 시·군비 35억 원으로 50억 원을 보조 지원하며 나머지 50%는 농가에서 부담한다. 단가는 1군당 25만 원으로 산정해 총 4만 군을 지원하게 된다.

지원대상은 재래벌(토봉)은 10군 이상, 개량벌은 30군 이상 농가에 해당하며, 도내 양봉농가수의 80%, 사육군수의 97%가 지원받게 된다.

경남도는 또한 한우 가격 안정 방안도 추진한다. 소비 확대를 위해 하나로마트 등에서 연중 10~50% 정도의 가격 할인을 통해 소비촉진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대형 육가공업체나 급식업체 등에서 제조 사용되는 육가공품과 식재료 등에 한우고기 사용하는 경우 차액을 일부 지원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의 암소 14만 마리를 감축하는 방안에 대해 경남도는 한우협회에서 건의한 ‘암소 도태 장려금 지원’과 연계해 추진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경남은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1만 429농가에서 32만 6758마리의 한우가 사육되고 있다.


임명진기자 sunpower@gnnew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