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별미 포장 냉면 ‘나트륨 덩어리’
여름철 별미 포장 냉면 ‘나트륨 덩어리’
  • 연합뉴스
  • 승인 2014.06.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제품 나트륨 함량 권장량 초과
냉면2
여름철에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포장 냉면류 가운데 일부 제품의 나트륨 함량이 하루 권장 섭취량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1회 제공량 기준으로 나트륨이 세계보건기구(WHO)의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인 2000㎎을 넘는 냉면 제품이 적지 않다.

이 가운데 오뚜기 면사랑 ‘매콤하고 시원한 강원도 칡냉면’은 나트륨 함량이 2540㎎으로 가장 많았다.

또 풀무원 생가득 매콤한 평양물냉면(2340㎎), 풀무원 생가득 평양물냉면(21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매콤하고 시원한 강원도 칡냉면’ 1인분을 먹으면 나트륨을 하루 섭취 권장량의 127%를 섭취하는 셈이다.

아워홈 쌀막국수(2223㎎), 오뚜기 면사랑 냉우동(2140㎎) 등 일부 ‘유사 냉면’ 제품도 나트륨 함량이 하루 기준치 2000㎎을 넘어섰다.

이 제품들은 나트륨 과잉 섭취의 주범이라는 오명이 따라다니는 라면보다도 짜다. 대표적인 라면의 나트륨 함유량은 농심 신라면이 1790㎎, 오뚜기 진라면 매운맛이 1860㎎ 등 평균 1700∼2000㎎이다.

CJ제일제당 프레시안 동치미 물냉면(1940㎎), 농심 태풍냉면(1790㎎), 아워홈 평양물냉면(1750㎎) 등의 나트륨 함량은 일일권장량 대비 80% 수준을 넘은 제품도 상당수다.

유독 물냉면의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은 육수 때문이다. 국물의 기본 맛이 짠맛이어서 육수 간을 맞추려면 소금이 상당량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게 업체들의 설명이다.

따라서 육수를 덜 마시면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지만, 시원한 국물을 마음껏 들이켜면 나트륨 섭취량이 급증한다.

여름철 인기 제품 가운데 육수가 없는 비빔냉면에는 상대적으로 나트륨이 적게 들어 있다. 오뚜기 면사랑 태양초 고추다대기 함흥 비빔냉면 960㎎, CJ제일제당 프레시안 함흥비빔냉면 950㎎, 풀무원 생가득 함흥비빔냉면 1110㎎ 등이다.

비빔면의 나트륨 함량도 삼양 열무 비빔면 1330㎎, 팔도 비빔면 1250㎎, 오뚜기 메밀비빔면 1110㎎, 농심 찰비빔면 1060㎎ 등으로 물냉면이나 라면보다 낮다.

다만, 비빔면류는 국물이 없기 때문에 소스에 함유된 소금을 거의 다 먹게 된다. 비빔면을 통한 나트륨 과잉 섭취도 신경을 써야 한다.

나트륨 과잉 섭취는 고혈압, 심장병, 위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을 위해 음식을 싱겁게 먹으려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해 업계는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실제로 농심 둥지냉면은 지난 3월 1950㎎에서 1780㎎으로, 오뚜기 면사랑 매콤한 평양물냉면은 작년 8월 2010㎎에서 1580㎎으로 각각 나트륨 함량이 줄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