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주재 각국 대사관 "철수 없이 업무 계속"
평양주재 각국 대사관 "철수 없이 업무 계속"
  • 연합뉴스
  • 승인 2013.04.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의 위협적 수사로 이해…상황 더 지켜보겠다”
북한이 한반도 정세 악화와 관련해 평양 주재 외교관들에게 철수를 권고한 데 대해 해당 대사관들은 당분간은 업무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독일 외무부는 6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평양 주재 독일 대사관의 안전과 위험 노출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현재로는 대사관 업무를 계속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이어 “대사관 안전 문제와 관련해 평양에 대사관을 둔 다른 국가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의 철수 권고에 대한 논평에서 “우리는 (북한의 철수 권고)통보가 북한의 위협적 발언의 연장선이라고 믿는다”면서 “직원의 철수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AFP통신은 불가리아 외교부 대변인을 인용, 유럽연합(EU) 국가의 평양 주재 공관장들이 공동 입장을 정하고자 이날 만나기로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 만나 어떤 의견을 나눴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영국 외무부는 “이날 모임은 의례적인 것이어서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미국의 영사보호권을 대리하고 있는 스웨덴 대사관도 자국 관광객 지원 등을 위해 일단 계속 가동 상태를 유지할 계획이다. 프랑스도 아직 공관 철수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외교부 역시 평양 주재 대사관을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북한 당국으로부터 대사관 직원 철수 권고를 받았으나 정상적인 업무를 계속하기로 했다”면서 “직원 철수를 권고한 북한 당국의 의도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외교부는 한반도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평양 주재 대사관을 중국 단둥으로 옮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외무부도 이날 발표문에서 북한 내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을 고려, 평양 주재 외교관들에 대한 철수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무부는 북한 외무성이 평양 주재 외국 대표들에게 철수를 권고한 사실을 확인하며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긴급사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클 테네 외무부 대변인은 그러나 “북한에는 인도네시아 외교관과 가족 등 30명이 거주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이들을 즉각 철수할 계획은 없으며 현재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러시아는 한반도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철수를 고려할 수도 있다고 러시아 국영방송이 전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모든 상황을 고려해 이 통보를 심각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CNN 방송은 북한 관리들이 5일 외국 대사들과 만나 인력 철수에 도움이 필요한지 의사를 물어봤다고 몇몇 외교관들을 인용해 전했다.

한편, 주로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북한 전문 여행사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은 직원 철수 권고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평소와 크게 다름없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중국 베이징에 있는 영국 국적의 북한전문 여행사인 고려여행사(Koryo Tours) 가이드는 영국 대사관으로부터 “여행 업무를 계속 진행하라는 권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틀간 북한에서 관광객들을 안내하고 6일 돌아온 고려여행사의 한 직원은 “북한 국영여행사에 있는 파트너들이 계속 관광객을 받고 있다”며 “현지에서 특별히 긴장된 분위기는 느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민간인이 전투 훈련에 동원된 것도 보지 못했다며 북한 주민들이 휴일을 맞아 산책을 나오거나 스케이트를 타고 볼링을 가기도 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직원은 “나무를 심는 데 동원된 군인들도 있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